전국 문화 기반 시설 전년 대비 5% 증가
김양숙
| 2011-07-25 11:30:08
[시사투데이 김양숙 기자] 공공 도서관과 등록 박물관 등 전국의 문화 기반 시설은 지난해 꾸준히 증가했으나 전문 인력의 비율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인구 100만 명당 시설 수는 제주도가 제일 많고(157개) 그 다음으로는 강원도(101개), 전남(74개)의 순서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공공 도서관, 등록 박물관 및 미술관, 문예 회관, 지방 문화원 등 대표적인 문화 시설의 운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10년 말 기준 전국 문화 기반 시설은 전년 대비 5%가 증가한 1,979개소로 나타났다.
문화 기반 시설의 현황 조사를 시작한 2003년의 1,037개소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해 현재는 시설별 조성 목표치에 근접한 것으로 파악됐다.
<표> 전국 문화기반시설 연도별 현황(개소)
연도별 |
총계 |
공공 도서관 |
등록 박물관 |
등록 미술관 |
문예 회관 |
문화원 |
2010 |
1,979 |
759 |
655 |
145 |
192 |
228 |
2009 |
1,883 |
703 |
630 |
141 |
182 |
227 |
2008 |
1,741 |
644 |
579 |
128 |
167 |
223 |
2007 |
1,619 |
607 |
511 |
115 |
161 |
225 |
2006 |
1,261 |
572 |
431 |
103 |
155 |
- |
2005 |
1,133 |
526 |
364 |
93 |
150 |
- |
지역별 시설 분포는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 문화 시설 35.6%가 분포하고 있어 수도권 지역의 1시도당 평균 문화 시설 수는 234개소로 그 외 지역보다 많다. 그러나 인구 백만 명당 시설 수를 고려하면 그 외 지역의 시설이 수도권 지역보다 많아 지방 문화 시설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설 운영과 관련해 문화 시설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특수성으로 문화 시설 운영에는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지만 시설당 평균 직원 12.4명 중 전문직 비율 33.0%로 전문 인력이 부족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문화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문화 시설 기본 정책을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도약시켜야 할 시점이라 판단하고, 건립-운영-평가 등 각 단계별 개선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