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식물 복원센터 덕유산에 둥지
오기선
| 2011-09-08 11:28:31
시사투데이 오기선 기자]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반달가슴곰, 산양 등 멸종위기 동물 중심의 복원사업 뿐만 아니라 식물분야에서도 체계적인 복원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덕유산국립공원에 멸종위기식물복원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는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식물이 64종 있는데 이 중 44종이 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이들 식물 복원사업이 개별 공원사무소별로 추진돼 전문성과 규모에 한계가 있었는데, 금번 식물복원센터 개소를 통해 식물복원 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 식물복원센터는 각 국립공원별로 서식하고 있는 멸종위기식물의 씨앗과 잎, 줄기 등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표본을 제작해 영구 보관하게 된다. 또한 지리산 가시오갈피나무, 덕유산 광릉요강꽃, 오대산 노랑무늬붓꽃과 같이 공원별로 서식하는 멸종위기식물을 증식해 서식지 복원에 활용하고 자생지에 대한 조사·연구와 보호시설 설치를 담당하게 된다.
공단은 2006년부터 국립공원별로 멸종위기식물 서식 실태를 조사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식지 보호를 위한 울타리 설치와 우회 탐방로 개설, 생육특징 파악을 위한 소규모 식물원 조성 등의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지금까지 소백산, 덕유산, 속리산, 주왕산 등 10개 국립공원의 멸종위기식물 서식현황을 조사했으며 2015년까지 15개 국립공원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공단 정용상 생태복원부장은 “그동안 동물복원 사업에 치중해왔는데 식물도 국가 생물다양성 차원에서 그에 못지않은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며 “이번 덕유산 식물복원센터 개소를 통해 우리나라 멸종위기식물의 70%가 서식하고 있는 국립공원에서 식물복원 사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