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주도하는 열린 고용과 핵심인재 육성 지원확대

김균희

| 2012-10-10 08:33:18

10월부터 고졸 근로자 등 대상의 자율 기업대학 지원 확대 고용노동부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고용노동부는 10월부터 열린 고용과 ‘일-학습 병행’환경 조성을 위해 기업, 사업주단체가 자율적으로 설립․운영하는 ‘학위와 무관한’ 기업대학(가칭)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고용부는 대학을 진학하지 않아도 희망하는 기업에 입사해 대졸자 수준이상의 고숙련 핵심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이 체계화된 고숙련 교육훈련과정을 실시하는 경우 교육훈련비의 80~100%를 지원하기로 했다.

금번 조치로 기업 등은 고졸 채용예정자에게 연간 평균 300시간 이상의 고숙련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수료자를 채용하면 중소기업은 훈련비 전액, 대기업은 80%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재직근로자도 연 평균 100시간 이상의 훈련과정을 기업대학에서 훈련하면 채용예정자와 동일한 수준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수혜 확대를 위해 대-중소기업 공동운영 기업대학 지원을 강화했다. 대기업이 자체 기업대학을 개방해 중소기업 고졸 채용예정자, 재직자에게 자사 근로자와 동등한 수준의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경우 교육훈련시설․장비 등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이러한 고용부의 노력에 따라 LG전자, 현대백화점 등 10여개의 주요 대기업은 열린 고용 및 ‘선취업-후학습’ 정책의 조기 정착을 위해 올해 중으로 학위와 무관한 ‘새로운 기업대학’을 설립하기로 했다.

고용부 박성희 직업능력정책관은 “대졸자의 과잉학력이 42%수준이고 4년제 대학졸업에 1억2천여만원이 소요되며 절반이상이 졸업까지 7년 이상 소요되는 등 고비용의 과잉학력화가 이어지고 있다”며 “금번 고졸 근로자 등을 위한 기업 자율의 고숙련 교육훈련체계에 대한 지원 확대는 열린 고용과 청년층의 조기 취업을 유도해 국가적으로는 능력중심의 사회와 청년층 인적자원의 효율적 활용에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