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사회 취약계층 2,200가구 생활환경 개선 지원
정명웅
| 2013-04-18 10:28:59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사회 취약계층의 건강보호를 위해 한층 강화된 서비스가 제공된다. 환경부는 한국환경산업기술연구원과 함께 올 4월부터 저소득가구, 장애인가구, 독거노인, 다문화가구 등 취약가구와 노인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실내환경 진단 개선사업’을 실시한다고 18일 발표했다.
실내환경 진단 개선사업은 최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의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열악한 생활환경에 의한 환경오염에 노출된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회 취약계층은 노후 된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 노후주택은 실내 공기가 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폼알데하이드 등에 오염되고 세균, 곰팡이, 집먼지 진드기 등 병원성 미생물이 서식할 확률이 높아 이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생활환경개선 지원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환경부는 올해 수도권, 전국 5대 광역시,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와 구미 불산 사고지역에 거주하는 사회취약계층 중 사회복지법인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추천을 받은 총 2,200가구를 선정해 무료로 실내환경 무료 진단 개선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 불산 사고로 고충을 겪은 구미 불산 사고지역이 새롭게 대상지역으로 추가됐고 지원가구도 지난해 2,000가구에서 200가구를 늘렸다.
이와 함께 지난해에 이어 친환경 사회적공헌기업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실내환경 진단 전 가구를 대상으로 실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핸디형 청소기와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계획이다. 진단결과 실내환경 개선이 꼭 필요하나 개선 여력이 없는 저소득층 110개 가구와 30개 노인복지시설을 엄선해 올 하반기부터 전문 인테리어 사업자를 통한 방수, 단열시공, 싱크대 교체 지원, 배수구 보수, 실내 미장·도색 등 친환경 주거공간으로 리모델링해 줄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앞으로 실내환경 진단 개선사업을 대표적인 친서민 생활환경 안전망 실내환경 진단·개선 사업으로 정착시켜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