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교직, 공공기관 등 공공분야 여성 관리자 확대 추진

박미라

| 2013-05-16 11:11:58

공공부문 여성 관리자 확대’ 위한 범정부적 협력 체계 구축 여성가족부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공직, 교직, 공공기관 여성관리자 비율을 확대하기 위한 기획재정부, 교육부, 안전행정부, 여성가족부 국장급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제1차 ‘양성평등TFT’ 회의가 15일 여성가족부 차관 주재로 개최됐다.

이번 ‘양성평등TFT’ 1차 회의는 성평등 수준이 특히 저조한 관리직 등 의사결정 분야의 여성 참여 확대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개최됐다. 공공부문의 경우, 중앙행정기관 여성 공무원은 2011년 전체의 30%를 넘어섰으나 4급 이상 관리직 여성공무원은 8.4%, 여성 고위공무원은 3.7%에 불과하다.

국립대 여교수 비율은 2012년 기준 13.7%로 사립대(22.6%)보다 낮고, 공공기관 여성관리자 비율도 민간기업(17.6%)보다 낮은 11% 수준이다. 또한 정부위원회 여성 비율은 25% 수준이고, 2012년 기준으로 ‘국가인재DB’에 수록된 인재 21만 명 중 여성은 3만 2천명(15.3%)에 불과하다.

정부는 앞으로 공직, 교직, 공공기관 등 공공분야 여성 관리자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민간부문으로의 확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안행부는 2017년까지 ‘4급 이상 여성 관리자’를 15%로 확대하기 위해 부처별 ‘4급 이상 여성관리자 임용확대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교육부는 교직 분야 대표성 제고를 위해 ‘여교장․교감 임용 목표제’를 추진할 예정다이.

기획재정부는 민간기업보다 저조한 공공기관 여성 관리자 비율 확대를 위해 올해 9월 ‘공공기관 여성관리자 목표제 시행지침’을 마련해 ‘2014년 경영평가’에 반영하고, 기관별 여성관리자 현황을 2014년부터 ‘알리오(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를 통해 경영 공시할 계획이다.

이복실 여가부 차관은 “‘양성평등 TFT’를 통해 부처 간 이행 현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을 해결해 나감으로써 공공분야 여성 대표성 제고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해로 삼겠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