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과학원, 화석연료 대체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정보 제공

정유진

| 2013-11-21 11:13:36

산림 부산물, 서울시 10만 가구 에너지 충당 가능 우리나라 연간 바이오매스 생장량 (2010년 기준)

시사투데이 정유진 기자] 최근 화석연료의 지구 온난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세계적으로 바이오 에너지를 산업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우리나라 산림을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자원 총량과 실제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지도 정보를 20일 발표했다.

산림 바이오매스 지도는 △우리나라 산림의 총 바이오매스 저장량, △연간 바이오매스 생장량, △관리가 가능한 지역에서의 바이오매스 자원량, △목질 바이오매스 자원량(뿌리, 잎 제외), △상업적 벌채 및 숲가꾸기에서 나오는 바이오매스 자원량 등의 세부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연간 바이오매스 자원량의 변화를 지방자치단체별로 볼 수 있도록 해 정책 결정자의 의사결정에 유익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산림의 총 바이오매스 자원량은 약 8억톤으로 이중 매년 상업적으로 벌채해 제재목 등으로 이용되고 남은 목질부 바이오매스는 연간 약 71만 톤 정도다. 숲가꾸기를 통해 원목으로 이용되는 양을 제외한 바이오매스 약 60만 톤, 총 약 130만 톤 정도의 바이오매스를 생산해 공급이 가능하다. 이를 석유에너지로 환산하면 약 60만 TOE(석유에너지 환산 단위)로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귀중한 신재생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1년 서울시의 에너지 소비량이 1,550만 TOE, 시민 1인당 연간 에너지 소비량이 1.55 TOE 인 것과 비교하면, 서울시 총 에너지 소비량 대비 산림 작업 시 나올 수 있는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시민 약 38만명(4%), 4인 가구의 경우 약 9만 5천 세대가 이용할 수 있는 양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손영모 박사는 “이제는 잘 가꾸어진 산림을 주변 생활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각을 바꾸어야 할 시점이다”며 “이번에 제공하는 산림 바이오매스 지도가 기후변화의 중요한 이슈인 탄소중립, 탄소상쇄 등의 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Tip.

※ 바이오매스 ; 산림부문에서 현재 주로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임목 줄기(stem) 부분이다. 바이오매스는 임목 전체를 이용한다는 차원에서 중량(무게) 단위로 표시한다. 즉 임목 바이오매스는 줄기, 가지, 잎, 뿌리, 열매 등 임목 전체를 건중량(dry weight, kg 또는 ton) 단위로 표시한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