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 여부에 따른 임금 차이 월 54만 8천원
박미라
| 2014-02-17 11:22:5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취업여성의 임금은 월 149만 6천원으로 경력단절 경험이 없는 여성의 임금 204만 4천원보다 월 54만 8천원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실시한 ‘경력단절여성 등 경제활동 실태조사’(이하 경력단절 실태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여가부는 지난해 5월 14일부터 5월 28일까지 15일간 만 25세~59세 결혼, 임신 또는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5854명을 대상으로 여성들의 경제활동 상태와 일자리 경험, 경력단절 전후의 일자리 변화와 현재 일자리 상태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취업 경력단절여성 월평균 임금 149만 6만원
우선, 조사대상 5,854명 중 취업경험이 있는 여성은 5,493명이고, 취업경험이 있는 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은 3,185명(58%)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 중 취업여성은 1,548명(48.6%), 비취업 여성은 1,637명(51.4%)이었다.
경력단절 여성 중 재취업한 경험이 있는 여성 비율은 66.3%(2,112명), 경력단절 후 한 번도 취업한 적이 없는 비취업 여성은 33.7%(1,073명)였다. 경력단절여성의 월평균 임금은 149만 6만원으로 경력단절 없는 취업여성 월평균 임금 204만 4천원의 73.2%에 불과했다.
경력단절 전후 일자리 변화
경력단절 당시보다 경력단절 이후에 제조업 취업비율은 33.9%에서 16.8%로 줄고, 도소매업은 17.0%에서 20.9%, 숙박과 음식점업은 2.8%에서 10.7% 늘었다. 직종별로는 경력단절 당시보다 경력단절 이후에 사무직은 39.4%에서 16.4%로 줄고, 서비스 판매직은 14.9%에서 37.0%로 늘었다. 4인 이하 영세사업장에 취업한 비율은 20%에서 42.9%로 2배 이상 높아지고, 상용 근로자 비율은 87.2%에서 58.6%로 낮아졌다.
재취업 사유와 애로사항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이 재취업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것은 적정한 수입(50.3%), 근무시간 조정 가능성(29.9%), 자신의 적성(24.5%), 출퇴근 거리(22.4%) 등으로 나타났다.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이 재취업 시 경험한 애로사항은 자녀양육과 보육의 어려움(41.1%), 일자리 경험과 경력 부족(25.3%), 가족의 가사노동 분담 부족(23.4%) 등이었다.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
비취업 경력단절여성 중 일할 의사가 있는 여성 비율은 53.1%였다. 경력단절 이후 취업 경험이 있는 여성의 일할 의사(61.5%)가 취업 경험이 없는 여성들의 일할 의사(48.9%)에 비해 높았다. 비취업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시 월평균 희망소득은 174만 6천원으로 조사됐다.
취업 여성들 중 1년 이내에 현재 일자리를 사직할 의사가 있는 여성 비율은 11.8%로 20~30대가 16.4%, 40~50대 이후 10.3% 보다 높았다. 현재 일자리에서의 사직 사유로는 ‘임금 수준이 낮아서’(28.5%), ‘출산, 육아, 자녀 교육 때문에’(16.3%), ‘근로시간이 길어 일과 가정을 병행하기 어려워서’(6.9%) 등이었다.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37.2%
비취업 경력단절여성들이 재취업을 위해 희망하는 정부정책(복수 응답)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37.2%), ‘연령차별 해소 노력’(26.5%), ‘여성능력 개발을 위한 직업훈련 지원’(23.6%), ‘직장·국공립 보육시설 확충과 보육 지원’(19.0%), ‘가족친화적 기업문화조성’(17.3%) 등이었다.
취업 여성들이 경력단절예방을 위해 원하는 정부 정책(복수 응답)은 ‘연령차별 해소 노력’(32.2%), ‘지속적 능력개발을 위한 경력개발 지원’(29.8%), ‘장시간 근로문화개선’(26.2%), ‘유연근무제 확대’ (22.0%), ‘직장·국공립 보육시설 확충과 보육지원’(22.3%) 등으로 나타났다.
조윤선 여가부 장관은 “취업 후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여성이 58%에 이르고, 취업 중인 여성들도 재경력단절의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은 정책적 시사점이 크다”며 “유형별 여성 새로일하기센터 설치, 전문기술 훈련 확대 등을 통해 경력단절여성들의 연령, 전공, 경력 등을 고려한 맞춤형 취업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