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서신 교환 등,북과 협의해야”

윤용

| 2014-03-04 13:38:16

국무회의서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에 주문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하는 박근혜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남북이산가족상봉 정례화는 물론이고 생사 확인과 서신 교환, 화상 상봉 등을 실현하기 위해 북과 협의하기 바란다"며 주무부처인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에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4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남북한의 많은 이산가족들이 한을 안고 돌아가셨는데 생존해 계신 이산가족들이 한 번이라도 헤어진 가족들을 만나려면 상봉 규모를 매년 60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하는 것으로 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분단으로 인해 이렇게 오랜 세월동안 가족을 만나지 못하는 한을 가지고 있는 곳은 한반도가 유일하다"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제안한 것도 이제는 더 이상 이산가족들이 기다릴 시간도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통일준비위의 구성 과정에서부터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부처는 국민적 사명감을 부여받아 최선을 다해달라"며 "각계각층의 민간위원이 참여해 심도있는 논의를 할 수 있도록 위원회 구성을 논의해달라"고 지시했다.

또 "한반도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기 위해 통일과정은 물론 통합과정까지 철저히 연구해야 할 것"이라며 "통일준비위가 구성과정에서부터 국민들의 공감과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부처는 국민적 사명감을 부여받아 최선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또 생활고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세 모녀를 언급하면서 “이분들이 기초수급자 신청을 했거나 관할 구청이나 주민센터에서 상황을 알았더라면 정부의 긴급 복지지원 제도를 통해 여러 지원을 받았을 텐데 그러지 못해 정말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다”며 “우리나라 복지여건이 아직 충분하지는 않지만 있는 복지제도도 이렇게 국민이 몰라서 이용하지 못한다면 사실상 없는 제도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앞으로는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고, 절박한 분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제도가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릴 방안을 찾기 바란다”며 “시민·복지단체 등 민간과도 협력해 어려운 분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보완 방안을 강구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국무회의에는 6·4 지방선거의 인천시장 출마설이 도는 가운데 휴가를 떠났던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이 참석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