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 훨씬 쉽고 편리하게...
이성애
| 2014-03-06 09:33:17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위성측량(GPS) 등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국가기준점(통합기준점 2,450점) 성과를 고시 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고시하는 국가기준점은 과거 산 정상에 설치하던 국가기준점(삼각점)과는 다르게 관공서, 공원 등 평지에 설치해 위성측량(GPS), 토탈스테이션 등 디지털 측량기기에 의한 측량이 쉬워졌다. 또한 내년에는 통합기준점에 대한 높이 값과 중력측량을 실시해 제공할 예정이다.
국가기준점을 도로, 철도, 산업단지 개발 등의 측량에 사용하면 기준점 접근 시간과 기준점간 거리단축에 따른 측량 소요시간 감소로 연간 약 20억 원의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
과거 수평위치의 기준이 되는 국가기준점(삼각점)은 아날로그 광학 측량기기를 사용하던 1990년대 이전에 설치됐다. 측량기기에 부착된 망원경을 이용해 국가기준점(삼각점) 간의 각을 측정해 위치를 결정했다.
국가기준점(삼각점)은 서로 보일 수 있도록 산 정상 부근에 주로 설치해 기준점의 접근이 어렵고, 측량을 위해서는 벌목 등의 작업이 필요해 사용하기 불편했다. 수준점은 높이의 기준이 되는 점으로 우리나라는 인천앞바다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높이 차이를 측량해 전국 주요 도로 주변에 설치했다.
<국가기준점의 종류>
종류 |
위치 |
용 도 |
접근방법 |
삼각점 |
산 정상 부근 |
수평위치(경위도) 측량 기준 |
도보 |
수준점 |
주요 도로변 |
높이(해발고도) 측량 기준 |
차량 |
통합기준점 |
관공서, 공원 등 평지 |
수평·높이 측량 기준 |
차량 |
책임운영기관인 국토지리정보원은 앞으로도 수평위치와 높이 값이 측정된 통합기준점을 구축하고 일반국민이 스마트폰 등에서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앱 개발을 추진해 국민행복 시대를 지향하는 국가정책에 부응하고 국민 불편이 없도록 서비스 할 계획이다.
고시 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http://www.ngii.go.kr)를 통해 3월 5일부터 제공할 예정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