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CCTV로 감지하고 무인항공기로 대응

이윤지

| 2014-03-12 10:08:05

안행부, 대형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 대비 현장점검 실시 안전행정부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앞으로 산불 대응에 첨단 CCTV가 동원돼 연기나 불꽃에 반응해 산불 여부를 판단하고 알려주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산불 현장에 무인항공기가 투입돼 산불의 진행방향 판단 등에 활용된다.

안전행정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하 연구원)은 기존에 인력에만 의존하던 산불 탐지·확산, 경로 예측 등에 과학기술을 활용해 산불 사각지대를 없애나갈 예정이다.

우선, CCTV와 관련해 연구원은 기존의 CCTV에 연기와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지능형 알고리즘을 적용해 ‘재난안전 관리를 위한 기존 CCTV의 스마트화’를 추진한다. 안행부와 연구원은 지능형 CCTV 산불 자동감지 기술을 올해부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전국에 확산해 갈 계획이다.

특히 지능형 알고리즘을 중·고해상도 CCTV 뿐만 아니라 저해상도의 CCTV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을 추가 개발 중에 있어 저예산으로 높은 활용도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첨단과학 장비 운용을 통한 재난원인 과학조사를 위해 산불·유해화학물질 노출 등 접근이 어려운 재난 발생 지역에 자율비행로봇(UAV)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 중이다.

연구원은 지능형CCTV와 자율비행로봇을 활용한 재난 상황관리를 위해 올해부터 향후 5년 동안 약 70억의 예산을 들여 관련 알고리즘 개발 및 고도화, 지자체 보급 및 확산에 나설 계획이다.

이경옥 안행부 제2차관은 “이번에 유관기관 간 산불예방 대책 및 신속한 진화대책을 점검함으로써 재난발생에 사전 대비하고, 유관기관 간 협조체계를 유지해 대형산불 예방으로 산불피해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