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중소기업의 오존층 파괴물질 감축 기술지원

전하라

| 2014-04-23 10:29:34

대체물질 선택, 공정기술 전환에 대한 컨설팅 진행 산업통상자원부

시사투데이 전하라 기자] 정부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특정물질)을 사용 중인 중소기업들이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다른 물질(대체물질)로 대체할 수 있도록 기업별 맞춤형 기술 컨설팅을 올해부터 새로 시행할 계획이다.

오존층파괴물질은 프레온가스, 할론, 수소염화불화탄소 등 총 96종의 물질로 냉매(냉장고, 에어컨 등), 단열재(건축), 세정제(반도체), 소화약제(소방) 등으로 사용돼 왔다. 몬트리올 의정서(우리나라는 1992년 가입)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프레온가스 등은 2010년 이미 신규 생산이 금지됐고 수소염화불화탄소 등은 점차 축소돼 2030년 생산이 금지될 예정이다.

오존층 파괴물질은 전기·전자, 반도체, 자동차, 금속 등 국내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과는 달리 발포와 세정 공정에서 오존층 파괴물질을 사용하는 중소기업들은 대부분 영세해 대체물질에 관한 정보 부족은 물론 기술도 상담 받을 데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업부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파견해 각 기업의 공정, 기술 수준을 진단하고 기업별 상황에 맞는 대체물질 선택, 공정기술 전환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할 계획이다. 대체전환 촉진 기술지원 사업의 컨설팅을 마치면 대상기업이 희망할 경우 이미 시행 중인 ‘시설 대체자금 융자사업’을 통해 공장설비 전환 자금을 융자받을 수 있도록 연계할 계획이다.

최태현 산업부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은 “올해부터 시행하는 대체전환 촉진 기술지원 사업은 정부지원 규모는 크지 않지만, 지원대상 기업들에 자체 부담금을 요구하지 않아 영세한 기업들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컨설팅을 마친 기업이 설비를 대체할 경우 융자사업과 연계해 지원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