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재연구소, 러시아 콕샤롭카 발해 유적 발굴조사 완료
윤용
| 2014-08-25 11:33:46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고고학역사학민속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시행한 러시아 연해주 콕샤롭카 발해 유적의 제7차 발굴조사를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콕샤롭카 유적은 현재까지 발굴조사가 진행된 발해 유적 중 가장 북단에 위치하여 전성기 발해의 영역 확장과 관련하여 주목받아 왔다. 올해는 연차 발굴의 최종 조사로서 성 외곽의 석축 구조물과 성벽,해자 구간을 조사했다.
이번 조사에서 석축 구조물은 대형 판석을 최대 4단으로 쌓아 기단을 만들고, 상부에 담장과 'ㅁ'자형 공간, 계단, 기둥 등을 시설한 것이다. 이 "구조물은 시신이 매장된 부분인 매장주체부는 불분명하지만 금제드리개장식, 은제허리띠장식, 은제못, 청동팔찌 등 출토 유물로 미루어 무덤으로 추정된다"며 "장례 이후 공간을 확장해 제단으로 장기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석축 구조물에서 8~9세기 위구르 양식의 토기가 출토됐다.이 유물은 당․일본․신라․돌궐 등과 광범위한 교역 경로를 운영한 발해의 국제교류 양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판단된다고 연구소는 전했다.위구르족은 몽골고원과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활약한 투르크 계통의 민족이다.
아울러 성벽과 해자(垓字)에 대한 단면 조사를 통해 축조 방법과 조영(造營)․존속시기를 확인했다.
성벽은 물리적 성질이 다른 흙더미를 교대로 쌓아 올린 후 깬 돌(할석)로 상부를 보강하는 방식으로 축조됐다.발해 대에 축조한 후 증축해 여진 대까지 장기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는 게 연구소의 설명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가 해동성국 발해의 동북 방면 진출 양상과 주변 민족 간 교류관계 연구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조사 성과를 종합한 발굴보고서를 2015년에 간행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