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개인별 맞춤지원 강화
박미라
| 2014-10-16 10:22:06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여성가족부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이하 피해자) 보호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자체와 공동으로 건강, 생활상태 등을 보살필 수 있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1대 1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해 가동했다.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국내에 생존해 계신 피해자 50명을 모두 방문한 결과 대부분의 피해자가 고령(평균 88세), 노환, 치매 등으로 혼자서는 보행이 어려울 정도로 건강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10개 시·도 사회복지공무원(40명), 전국 26개 보건소 보건담당공무원(28명)이 참여해 피해자의 건강·생활 상태를 주 1회 이상 방문해 확인하고 피해자의 요구사항을 적극 수렴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체계가 구축됐다. 특히 이들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피해자나 혼자 사시는 피해자에게 말벗이 돼 외롭지 않도록 보살피고 건강이 좋지 못하신 피해자와 지역 의료기관을 연계할 계획이다.
여가부는 위안부 피해자 1대 1 맞춤지원 사업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사업에 참가하는 지자체 공무원이 특별한 관심과 열정으로 피해자를 보살피도록 사전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김희정 여가부 장관은 “이번 일대일 맞춤 지원 시스템 구축으로 상시적인 피해자 지원이 가능해져 할머니들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에는 지역 의료기관에 긴급히 연계 조치해 피해자 보호에 신속히 대응·지원할 수 있게 됐다”며 “할머니들께서 가해 당사국으로부터 진정한 사과를 받는 그 날까지 건강상태를 잘 유지하면서 오래 사실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