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 위해 정부-지자체 등 한자리 모여
이혜선
| 2015-03-13 11:54:03
시사투데이 이혜선 기자]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 정계, 재계, 체육계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정부는 13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이완구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평창동계올림픽대회지원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어 대회준비에 혼선이 있거나 부진했던 쟁점들을 정리하고 본격적인 대회 준비에 범국가적 관심과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날 회의는 3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그동안 정부부처 위주로 구성된 위원회의 틀을 벗어났다. 국무총리, 관계부처장관, 강원도지사, 조직위원장, 대한체육회장 등은 물론 정계(강원지역 국회의원 6명), 재계(전경련 부회장), 체육계(한체대 총장, 국가대표 선수·코치), 지자체(평창군수, 강릉시장, 정선군수) 등이 참여했다.
올림픽 준비의 핵심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 조직위, 강원도는 삼위일체가 돼 범국가적 지원에 발맞춰 대회운영, 사후활용방안, 대회홍보와 관광객 유치 등에 빈틈없는 준비로 가시적 성과를 내기로 했다.
특히 유일하게 경기장이 결정되지 않은 스노보드·프리스타일 경기를 보광 휘닉스파크에서 열기로 최종 결정했다. 12일 이완구 총리의 지시로 문체부, 평창조직위원회, 보광측이 긴급 회동을 갖고 심야까지 협상을 진행한 끝에 그동안 이견이 있던 경기장 사용료 문제를 극적으로 타결했다.
대회 성공의 필수시설인 평창선수촌(3,500명 수용) 건설문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총리의 강력한 의지로 관계기관 간 이견을 조정 끝에 민간기업이 건설해 제공한 후 일반 분양 시 재산세 중과세 부과문제는 법령 개정을 통해 해법을 모색키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완구 총리는 “평창동계올림픽이 3년 남았는데 그동안 진행이 지지부진해 조양호 조직위원장과 두 차례, 최문순 강원도지사와 한차례 만나기도 했다”며 “분산개최는 없다는 문체부와 조직위, 강원도의 입장을 확인한 만큼 이제부터는 한마음이 돼 조직위 중심으로 평창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이끌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