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동네, 판자촌 등 주거 취약지역 개선사업지 선정

서애진

| 2015-03-25 11:51:52

취약지역 희망마을로 재생 본격 착수 선정결과 전국 현황도

시사투데이 서애진 기자] 국토교통부와 지역발전위원회는 24일 국정과제인 지역행복생활권 정책의 일환으로 주거취약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의 도시지역 대상지 30곳을 선정하고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이들 선정된 지역은 올해 국비 250억원(총 지원액의 20%)을 시작으로 4년간 주민 생활여건 개선을 집중 지원될 계획이다.

본 사업은 주거여건이 열악하고 안전·위생이 취약한 저소득층 주거지역에 대해 긴급한 집수리, 안전·방재시설 확충, 화장실·상하수도 등 최소한의 기본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마련됐다. 선정된 곳은 한국전쟁 피난민이 정착한 산간 달동네, 공단 인근불량 주거지역, 도심 쪽방촌, 규제지역(개발제한구역 등)으로 기반시설이 열악한 지역 등이 포함됐다.

구분

특성

대표지역

산간 달동네

․피난민 정착마을

․산사태 등 안전 취약

․하수도․도시가스 보급 안 됨

부산 영도․사하, 광주 남구․서구, 강릉․태백, 여수 등

도심 쪽방촌

․철거 이주민 정착 또는

일본식 건물에 저소득층 밀집

서울 종로, 인천 동구․부평, 경기 포천 등

공단 배후지역

․과거 공단 저소득 근로자 정착

․소음, 분진, 악취 등에 취약

․이주노동자․저소득층 혼재

부산 사상, 전주, 경남 양산 등

기타 불량

주거지

․개발제한구역, 재개발사업 해제지역, 도심공동화 등에 따른 불량주거지역

대전 대덕, 경기 양주, 부산 서구, 세종, 울산 남구, 대구중구 등

국토부 정병윤 국토도시실장은 “그간 거시적, 광역적 차원의 지역발전정책 위주였다면 이번 사업은 소외된 지역의 어려운 국민들을 돌아보는 정책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