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취업준비생 86.4% 해외취업 ‘긍정적’

이명선

| 2015-05-15 10:15:45

한국산업인력공단과 잡코리아 공동 ‘해외취업 선호경향’ 조사 해외취업 희망 근무기간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대학생, 구직자 등 취업준비생 86.4%는 해외취업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인력공단과 잡코리아가 공동으로 대학생, 구직자 등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0명 중 9명은 해외취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지난 달 9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됐고 567명이 응답했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86.4%는 ‘기회가 있다면 해외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고 93.7%는 ‘해외취업의 기회가 확대돼야 한다’고 답했다.

해외취업을 하고자하는 이유로는 ‘해외기업의 복지와 근무환경이 우수하다고 생각해서’가 35.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문기술을 습득하고 업무능력을 키우기 위해’ 24.7%, ‘국내취업 전망이 어려워서’ 20.1%, ‘경력을 통해 몸값을 올리기 위해’ 12.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의 46.0%가 ‘2년 이상의 해외 근무기간을 선호’했고 68.3%는 ‘해외 경력을 쌓은 후 귀국한다’고 답해 해외취업을 경력관리 차원에서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구직자 대부분은 해외취업이 개인의 경력에 도움이 되고(92.9%), 장기적으로 국가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81.7%)고 답했다. 하지만 해외취업에 발생하는 과다한 비용, 부족한 외국어 실력, 정보부족 등의 이유로 해외취업에 도전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해외취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응답자의 67.5%는 해외의 좋은 일자리 발굴과 정보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하지만 응답자의 61.4%만이 해외취업을 위해 실제 정보를 확인하는 노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온라인 취업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정보를 확인했지만 내용이 부실하다고 답했다.

해외취업 국가로 유럽(29.5%)과 미국(28.2%)을 가장 선호했고 이어 호주(10.6%), 일본(8.6%), 캐나다(8.1%)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 63.5%, 남성 36.5%로 여성이 더 많았다. 연령대는 20대 52.0%, 30대 38.6%, 40대 8.3% 순으로 청년층이 대부분이었다. 학력은 4년제 재·졸이 61.9%로 가장 많았고 전문대 재·졸 22.6%, 고졸 9.9% 순이었다.

공단 박영범 이사장은 “이번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났듯이 해외취업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 공단은 기업, 학교, 연수기관 등과 협업해 통합 인프라를 구축해 가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