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 증축 건축물 26년 지난 시점에서 한 행정처분은 잘못
조윤미
| 2015-05-20 10:17:10
시사투데이 조윤미 기자] 국민권익위원회는 26년 전 위법건축물에 대해 당시 소유주에게 행정청이 시정명령을 한 후 과태료 처분을 하지 않고 계속 방치하다가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는 것은 잘못된 행정처분으로 이를 취소하도록 의견을 표명했다.
A씨의 부친은 지난 1988년 8월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소재의 건축물을 원미구청으로부터 건축허가를 받지 않고 무단으로 증축해 사용해 왔다. 원미구청은 같은 시기 건축물의 위반사항을 적발한 후 ‘건축법’ 위반으로 A씨의 부친을 부천경찰서에 고발하고 무단으로 증축한 위반사항을 1988년 10월까지 자진 철거하도록 A씨의 부친에게 시정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원미구청은 이 건축물의 위법사항과 관련해 당시 ‘건축법’에 따라 A씨의 부친에게 과태료 부과를 하지 않고 방치해 왔다.
이 후 원미구청은 지난해 3월 부천소방서의 특정 소방대상물 전수점검으로 이 건축물이 불법 증축된 사실을 알게 됐고 A씨의 부친으로부터 소유권을 증여받은 A씨에게 두 차례에 걸쳐 시정명령을 한 후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6개월 뒤 A씨에게 2천 3백여만 원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했다. 이에 A씨는 무단 증축한 건축물의 위반 행위일로부터 약 26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과태료가 아닌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권익위에 고충민원을 제기했다.
권익위 측은 “행정청이 과태료 처분을 하지 않고 계속 방치함으로써 5년의 과태료 제척기간이 경과돼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되지 않고 이행강제금이 신설된 개정 건축법 시행 이전이어서 부과 대상이 아니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