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오는 13일 대국민담화·기자회견…북핵·경제-노동 등 쟁점법안 메시지 주목
윤용
| 2016-01-11 14:08:25
13일 오전 춘추관서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 개최
박근혜 대통령(사진=청와대)
body{font-family: Tahoma,Verdana,Arial;font-size: 11px;color: #555555;margin: 0px}td{font-size :11px; font-family: Tahoma,Verdana,Arial;}p{margin-top:1px;margin-bottom:1px;}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오전 청와대에서 대국민담화를 발표하고,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 표명과 더불어 노동개혁 및 경제활성화 등 핵심법안 처리의 필요성을 호소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담화 발표 후 기자회견을 진행, 집권 4년차 주요 국정 과제에 대한 구상을 보다 상세하게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정연국 대변인은 11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박 대통령은 13일 오전 담화 및 기자회견을 갖는다"며 "담화를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담화 및 회견 형식을 택한 이유는 북한의 핵실험으로 동북아 안보지형을 뒤흔드는 국가안보상의 중대 변수가 발생한데다 핵심법안 처리를 위한 1월 임시국회가 열린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특히 지난 6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나 북한이 첫 시험용 수소폭탄 실험이라고 주장하는 만큼 동북아의 안보 지형을 뒤흔들고 북한 핵문제의 성격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한 점에 비춰 어떤 식으로 북핵 문제를 접근해 나갈 것인지 언급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함에 따라 대화와 대응, 두 축에 기반을 둔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정책의 유효성을 두고 비판 목소리도 나오는 만큼 대북 정책 기조에 관한 언급도 나올 수 있다.
아울러 지난해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자 회담 당사국들과 외교 방향을 설명했던 만큼 북핵 문제가 대두된 이번에도 북한에 대한 강력한 국제 제재를 둘러싸고 동맹·주변국들과의 외교 방향을 짚고 나갈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신년 메시지에서 강조했듯 올해 마지막 해를 맞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4대 개혁 완수 의지도 재차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미국의 점진적 금리인상 예고, 중국의 경기 둔화 등 새해 벽두부터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핵심법안 처리의 절박성을 재차 호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예정됐던 수석비서관 회의를 취소하고, 대국민 담화 준비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담화 및 회견도 예년처럼 내외신 기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방송을 통해 생중계될 것으로 전망된다. 담화 발표 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북핵 대응과 법안처리 등 당면 현안뿐만 아니라 박 대통령이 주요 국정과제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 셈이다.
박 대통령은 담화 발표 후 기자회견을 진행, 집권 4년차 주요 국정 과제에 대한 구상을 보다 상세하게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정연국 대변인은 11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박 대통령은 13일 오전 담화 및 기자회견을 갖는다"며 "담화를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담화 및 회견 형식을 택한 이유는 북한의 핵실험으로 동북아 안보지형을 뒤흔드는 국가안보상의 중대 변수가 발생한데다 핵심법안 처리를 위한 1월 임시국회가 열린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특히 지난 6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나 북한이 첫 시험용 수소폭탄 실험이라고 주장하는 만큼 동북아의 안보 지형을 뒤흔들고 북한 핵문제의 성격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한 점에 비춰 어떤 식으로 북핵 문제를 접근해 나갈 것인지 언급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함에 따라 대화와 대응, 두 축에 기반을 둔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정책의 유효성을 두고 비판 목소리도 나오는 만큼 대북 정책 기조에 관한 언급도 나올 수 있다.
아울러 지난해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자 회담 당사국들과 외교 방향을 설명했던 만큼 북핵 문제가 대두된 이번에도 북한에 대한 강력한 국제 제재를 둘러싸고 동맹·주변국들과의 외교 방향을 짚고 나갈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신년 메시지에서 강조했듯 올해 마지막 해를 맞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4대 개혁 완수 의지도 재차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미국의 점진적 금리인상 예고, 중국의 경기 둔화 등 새해 벽두부터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핵심법안 처리의 절박성을 재차 호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예정됐던 수석비서관 회의를 취소하고, 대국민 담화 준비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담화 및 회견도 예년처럼 내외신 기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방송을 통해 생중계될 것으로 전망된다. 담화 발표 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북핵 대응과 법안처리 등 당면 현안뿐만 아니라 박 대통령이 주요 국정과제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 셈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