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병 무인회수기 이용 소비자 10명 중 7명 ‘편리하다’

방진석

| 2016-03-10 10:43:30

빈병 회수량 44% 증가 시범설치 대상 무인회수기 종류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빈병 무인회수기가 설치 전에 비해 빈병 회수량이 44%나 증가하는 효과에 힘입어 올해 안으로 전국 주요 지점에 100여대가 설치된다.

환경부와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이하 유통지원센터)가 지난해 9월부터 홈플러스 가좌점, 영등포점과 이마트 고잔점과 성수점 등에 시범 도입한 무인회수기의 운영 상황을 점검했다. 무인회수기는 자동으로 보증금 대상 빈병을 인식하고 반환한 빈병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 현금으로 환불받을 수 있는 영수증을 출력해 주는 기계다.

이 결과 무인회수기를 설치하기 전에 비해 빈병 회수량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회수기가 설치된 매장의 일평균 빈병 회수량이 설치 전 576병에서 설치 후인 올 1월에는 일평균 830병으로 44.3%가 증가했다.

무인회수기 운영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도 좋은 편이다. 환경부가 한국갤럽리서치에 의뢰한 설문조사에 실제 무인회수기를 이용한 소비자 10명 중 7명이 ‘편리하다’고 응답했다. 편리한 이유로는 ‘보증금 자동 계산’이 37%로 가장 많았고 ‘반환시간과 수량의 제한이 없는 점’ ‘대기시간 단축’ 등으로 꼽혔다. 또한 응답자의 81%는 ‘무인회수기가 많아지면 반환이 활성화될 것’이고 37%는 ‘무인회수기 설치 후 반환을 시작했다’고 응답해 무인회수기가 빈병 반환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와 유통지원센터는 수요조사를 토대로 지난 2월 29일 수도권 대형마트 6곳의 매장에 무인회수기 11대를 추가로 설치해 총 13곳의 매장에 24대를 운영 중에 있다. 3월부터 내년 1월 1일 빈병 보증금이 인상되기 전까지 무인회수기를 100대를 전국으로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설치장소도 대형마트 뿐만 아니라 주민자치센터, 아파트 상가 등으로 다양화할 예정이다.

유승광 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은 “7월부터 시행되는 빈병 재사용 및 보증금 표시 의무화, 소비자 신고보상제 등과 더불어 무인회수기 보급 확대를 통해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빈병을 반환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