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항 보안수준 격상해서 테러·불법밀입국 차단
이명선
| 2016-03-11 10:33:03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인천국제공항은 지난해 여행객 수가 5천 만 명을 육박하며 수많은 내외국인이 이용하는 국가의 최대 관문지다. 국경관리를 위해 철저한 보안확보가 필수적인 시설이다. 하지만 최근 인천공항 밀입국, 폭발물 의심물체 발견 등으로 공항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79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공항보안 강화대책’을 논의해 확정했다.
고위험 환승객은 항공사와 법무부 협조해 직접 인솔
먼저 빈틈없는 보안 협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계기관 간 정보공유를 강화한다. 공항에는 인천지방검찰청과 경찰청, 해수부 국립수산품질관리원 등 20여개가 넘는 공공기관이 상주하고 있다. 출입국심사장-세관-탑승수속장 등 구역별로 보안을 담당하는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보안확보를 위해 여러 기관의 긴밀한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동출입국심사대, 승객밀집구역 등 취약지역에 대한 출입국 영상정보를 관계기관이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미탑승 환승객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환승객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출입국심사장 무단통과, 환승객 미탑승 등이 발생하는 경우 공항 대테러상황실(공항공사)과 출입국사무소(법무부)가 동시에 관계기관에 상황을 전파한다.
또한 국적항공사 이용객 중 환승 무비자 입국이 불허된 사실이 있는 자, 입국금지자 등 고위험 환승객에 대해서는 항공사와 법무부가 협조해 환승장까지 직접 인솔하도록 하고 있다. 공항보안 실태를 잘 아는 조력자, 브로커 등이 밀입국에 개입돼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 하에 불법입국 알선브로커에 대한 합동수사도 강화할 방침이다.
인천공항 출입국심사장 관리 강화
기존 CCTV를 고화질, 지능형 영상감시 기능이 갖춰진 디지털 CCTV로 전면 교체하고 인천공항 출입국심사장에 보안셔터, 보안검색장에 감지센서를 각각 설치해 업무종료 후에는 사람의 접근을 원천 차단한다. 또한 각 출국심사장에 상주직원 전용통로와 출입증 인식시스템을 설치해 비인가자의 출입을 통제하고 출입국심사장 전 지역에 대해 실시간 감시를 실시하는 등 주요 보호구역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
특히 공항 보안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공항공사, 보안업체 등 현장 담당기관의 책임성을 강화해 철저한 보안관리를 유도할 계획이다. 공항보안의 최일선에 있는 경비, 검색요원들이 자긍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근무여건도 개선한다. 승객이나 상주기관 직원이 보안요원의 통제에 불응하는 경우 경찰에 인계 조치할 수 있고 그로 인한 민원이 발생해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탑승수속장, 면세구역 등 테러 예방활동 강화
보안 취약지역뿐만 아니라 탑승수속장, 면세구역 등 다중이 이용하는 일반구역에 대한 테러 예방활동도 강화한다. 그간 시범적으로 운영해 온 행동탐지전문요원(BDO, Behavior Detection Officer)을 일반구역에도 배치 운영하고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터미널 출입구에서도 보안검색을 실시할 계획이다.
현장의 테러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테러현장지휘본부’에 현장출동기관 전체에 대한 지휘·통제권을 부여하고 입국제한 우범자의 항공기 탑승을 차단하기 위해 탑승자 사전확인과 탑승방지 제도를 내년부터 전면 시행한다.
정부 관계자는 “밀입국 재발방지와 공항보안 강화를 위해서는 관계 기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한 현장의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분기별로 이행실태를 점검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