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산불 발생 급증..전체 발생건수의 64% 차지

김태현

| 2016-04-15 11:26:47

산불발생 건수와 피해면적(5년간)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국민안전처는 최근 건조하고 바람이 잦은 날씨로 인해 연일 산불이 발생하고 있어 입산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5년간 총 1,885건의 산불이 발생했는데 3월 583건, 4월 409건, 5월 221건 등 봄철이 전체 산불 발생건수의 6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4월 11일 기준 벌써 63건의 산불이 발생해 최근 5년간의 4월 평균인 약 82건의 절반을 넘어섰다. 산불 발생 원인을 보면 입산자 실화가 36%로 가장 많았고, 논·밭두렁 소각(19%), 쓰레기 소각(13%)으로 나타났다.

과거 4월에 발생한 대표적인 산불 사례로는 고성산불과 양양산불이 있는데 두 경우 모두 산림 소실 등 피해가 막대했다. 2000년 강원도 고성에서는 쓰레기 소각 중 부주의로 인해 발화된 산불이 7일부터 15일까지 9일 동안 동해안 전 지역으로 번졌고 이로 인해 여의도 면적의 82배에 해당하는 산림 2만3,794ha이 소실됐고 17명에 이르는 사상자도 발생했다.

또한 2005년 강원 양양에서도 입산자 실화로 추정되는 산불이 발생해 여의도 면적의 약 3.4배에 달하는 산림 973ha가 소실됐고 무엇보다 천년 고찰인 ‘낙산사’가 전소됐고 낙산사 동종(銅鐘)도 함께 소실됐다.
이렇게 매년 산불로 인해 여의도의 면적의 1.4배에 해당하는 산림이(396ha) 잿더미로 변하고, 사망자 수도 평균 7명에 이르고 있다.

안전처 김광용 안전기획과장은 “산불 발생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가 대부분으로 산에서 반드시 금연해야 하고 입산할 때에는 성냥이나 라이터를 아예 가지고 가지 말아야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