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자원화시설’ 농민의 소중한 자산
정명웅
| 2016-07-29 08:50:56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분뇨의 해양배출을 전면금지하고 특히 ‘자연 순환농업’활성화를 위해 ‘가축분뇨공동자원화시설’지원 사업을 2012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자연 순환농업’은 공동자원화시설에서 가축분뇨를 자원화하고 안정적인 퇴·액비를 생산해 양질의 유기질비료를 농가에 공급함으로써 축산·경종 농가의 상호연계로 친환경농업을 실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런 ‘친환경 자연 순환농업’을 마련하기위한 정부핵심정책 사업으로 시작한 공동자원화시설이 여러 지역에서 가동하고 있지만 일부 시설에 대한 부주의로 인해 악취문제나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등 고질적인 문제가 발생돼 여전히 풀지 못하는 숙제로 남아있다. 또한 인근지역의 농가와 주민들의 공동자원화시설에 대한 인식부족과 민원제기도 또 다른 장벽이기도하다.
이는 정부의 핵심적인 정책사업인만큼 자원화시설에서 가축분뇨의 보관관리·처리문제를 완벽하게 소화하고 개선한다면 우리농가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농민의 소중한 자산이다.
이런 가운데 공동자원화시설을 통해 가축분뇨를 완벽하게 처리하고 품질 좋은 퇴·액비로 전환·공급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이가 있다. 바로 (사)대한한돈협회 제천지부 김병화 지부장이 그 주인공이다.
김 지부장은 끊임없는 도전정신과 목표의식을 가지고 축산농가의 골칫거리인 가축분뇨문제를 전문양돈지식을 바탕으로 해결하고자 매사에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지부에서 운영하는 공동자원화시설이 두 차례에 걸쳐 유출사고가 발생돼 관내 주민들이 환경오염을 이유로 시설가동중단 처리를 요구하는 등의 소송을 제기해 대법원 판결에서 주민의 손을 들어줬다.
여기에 대해 김 지부장은 “공동자원화시설 운영관리의 소홀(동파·장마)과 부주의로 인해 마을주민들에게 손해를 입힌 부분을 인정하고 매우 죄송하다”며 “당장의 시설중단보다는 3년의 유예기간을 주면 저장된 분뇨를 모두 처리하고 향후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고 안타까운 마음을 표출했다. 덧붙여 “아직도 지역의 양돈·축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맡은 역할에 책임감을 갖고 직원들과 함께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주민들은 시설가동이 중단될 경우 현재 저장된 1만여 톤의 분뇨에 대한 실질적인 처리방법이 없어 또 다른 2·3차 환경오염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에 김 지부장은 마을주민에 대한 믿음·신뢰를 다시 한 번 쌓기 위해 무엇보다 원칙경영을 바로 세워 시설을 꼼꼼히 체크하고 구제역·AI방역, 주변 환경정화·환경위생관리도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힘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김 지부장은 지역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퇴·액비를 무상으로 공급하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주변의 소외된 이웃을 위해 따듯한 나눔의 손길을 펼치는데 앞장서고 있다. 김 지부장은 “정부핵심정책사업인 가축분뇨공동처리시설을 운영함에 있어 관할기관·관계자의 긴밀한 협조와 적극적인 중재역할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런 김 지부장의 전문적인 양돈지식을 지역양돈농가에 보급하고자 노력한 결과 2016 대한민국 新지식경영 大賞 지식인 부문(시사투데이 주관·주최)에 영광을 차지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