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상과염’ 3명 중 2명 40~50대..증상 발생 시 즉시 휴식

이명선

| 2016-08-25 10:12:13

팔꿈치 미세한 통증 서서히 진행돼 아래팔까지 뻗쳐 상과염 진료인원 연령별 성별 비중 (2015년)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반복되는 가사노동으로 인해 40~50대 여성 사이에 ‘상과염’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11년 약 58만8,000명에서 2015년 약 71만7,000명으로 약 12만9,000명(22.0%) 증가해 연평균 5.1%의 증가율을 보였다.

‘상과염’ 전체 진료인원 3명 중 2명(67.5%)은 40~50대로 남성보다 여성 진료인원이 많았다. 2015년 기준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연령은 50대로 전체 진료인원의 36.3%를 차지했고 40대 31.2%, 60대 15.4%, 30대 8.8% 순으로 많았다.

심평원 측은 “30대까지는 남성 진료인원이 더 많지만 40대부터는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연령층은 무리한 운동 등으로 인해 남성 진료인원이 많고 40대부터는 반복되는 가사노동 등으로 인해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고 했다.

‘상과염’은 손목을 펴거나 굽히는 동작을 할 때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반복해 무리하게 사용할 경우 힘줄에 미세한 찢김(파열)이 발생하게 되며 치료상태가 불완전한 상태에서는 만성 통증이 발생한다. 발생부위에 따라 내측(안쪽), 외측(바깥쪽)으로 구분되는데 외측 상과염 진료인원이 4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손목을 펴는 동작에서는 외측(바깥쪽) 상과염, 손목을 굽히거나 뒤집는 동작에서는 내측(안쪽) 상과염이 주로 발생한다. 흔히 외측 상과염은 ‘테니스엘보’, 내측 상과염은 ‘골프엘보’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팔꿈치의 미세한 통증이 서서히 진행돼 아래팔까지 뻗쳐나가며 심한 경우 가벼운 동작에서도 통증이 발생해 일상생활이 어렵다.

심평원 조석현 상근심사위원은 “흔히 테니스, 골프엘보로 알려져 있어 테니스, 골프 선수 등 운동선수에게만 발생하는 질환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일상생활에서도 손목의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무리한 반복 사용 등으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증상이 발생하면 무리하지 않고 즉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