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노후 ‘서대구공단’ 재생사업 본격 추진
방진석
| 2016-10-04 11:24:57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노후화 된 ‘서대구공단’이 도시형 산업으로 본격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대구시에서 수립한 서대구산단 재생사업 활성화계획(안)이 9월 30일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서대구산단은 서구 중리동, 이현동 일원에 위치한 2,662천㎡의 공업지역으로 70년대 도심 내 불법으로 산재한 공장들을 집단으로 유치해 도시환경 개선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조성됐다. 현재 1,366개 업체가 입주해 1만3,0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서대구산단은 대구시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오래전부터 리모델링 사업이 절실한 지역으로 여겨져 왔다. 2009년 노후산단 재생사업 시범지구로 선정된 이후 대구시에서 입주기업과의 협의를 거쳐 산단재생계획을 수립해 2013년 재생사업지구로 지정됐다.
재생사업으로는 스마트 자동차, 신소재 섬유, 차세대 기계금속, 바이오 제약·의료기기 업종 등 부가가치가 높은 도시형 산업으로 전환하고 도로, 주차장 등 부족한 기반시설, 연구시설, 노유자시설 등을 확충해 산단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21년까지 국비와 지방비 1,158억 원을 투입하게 된다.
‘서대구산단 재생사업 활성화계획’은 서대구산단 재생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서구 이현동에 위치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 비축창고 부지 1만4,813㎡에 지식산업센터와 근로자 지원·복지·교육·연구시설 등 산단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활성화구역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비축창고 부지를 매입해 산단부지를 조성하고 이 중 산업시설 부지 5,433㎡에는 대구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금융기관, 건설회사 등이 산단재생 리츠를 설립해 지식산업센터를 건설하게 된다. 나머지 부지는 민자를 유치해 연구, 교육, 복지시설 등 복합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대구산단 재생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활성화구역에 대해 건폐율, 용적률을 최대한 완화하고 민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개발이익 재투자를 면제하는 등 각종 인센티브와 기반시설 설치에 국고를 우선 지원하게 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