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철도 정비사 자격제 도입..2021년까지 단계적 추진

김태현

| 2017-05-08 11:17:04

‘철도안전 전문 인력 양성계획’ 마련 국토교통부 세종청사 전경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철도안전을 위해 철도 정비사 자격제가 도입된다. 철도종사자는 역량 강화를 위해 정기적인 직무교육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사회적 파급력이 큰 철도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인적과실을 줄이기 위해 올해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철도안전 전문 인력 양성계획’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8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2015년 발생한 철도운행 장애 255건 가운데 차량고장이 142건(55.7%)으로 절반 이상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차량 정비인력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비사 자격제도를 도입해 기술수준에 따른 등급분류 기준, 차종별 또는 장치별 분류기준, 기존 정비인력 자격인정 범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또한 기관사, 관제사, 정비사 등 철도종사자의 직무역량을 높이기 위해 신규 장비, 신기술 등 직무관련 교육을 5년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실시하도록 의무화 한다.

아울러 외주 위탁업체의 경우 별도의 교육훈련 시스템이 없어 인력 양성에 애로가 있는 만큼 고용노동부가 시행 중인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프로그램에 철도 분야를 포함시켜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기능인력을 5년간 약 800명 양성할 예정이다.

많은 경험과 업무지식을 지닌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퇴직 시에는 업무 공백,기술력 단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퇴직자의 업무 경험과 지식을 계속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 분야별로 퇴직자 인력은행 관리, 구인구직 전문창구, 재교육과정 운영 등을 통해 향후 5년간 퇴직인력의 약 10%인 약 700명 정도를 외주 위탁업체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국토부 남영우 철도안전정책과장은 “철도안전 전문 인력 양성계획시행을 통해 철도종사자들의 전문성과 업무역량이 강화되고 철도의 안전수준이 강화돼 한층 더 안전한 철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