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지역별 1인 가구 거주특성 분석..합리적 공공정책 결정 활용
이윤재
| 2017-06-19 10:43:39
공간 빅테이터 활용
국토교통부 세종청사 전경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국토교통부는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합리적인 공공정책을 결정하기 위해 지역개발, 주거 등 7개 분석 과제에 대한 관련기관과 협의회를 19일 개최한다.
이번 협의회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간 빅데이터 분석 과제에 대한 수요조사를 거쳐 11개 과제가 선정됐다.
이 중 과적차량 이동경로 예측 정보와 과적단속 최적위치 선정, 주택구입·이주패턴을 활용한 주택도시기금 대출수요 예측, 혁신도시 건설의 지역 활성화 효과 분석, 지역별 1인가구 거주특성 분석 등 7개 과제 사항을 논의할 계획이다.
그동안 국토부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행정정보, 민간에서 보유하고 있는 유동인구자료, 카드매출정보 등을 융·복합해 분석하고 관련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 빅데이터 체계 구축사업을 2014년부터 추진해 왔다.
2016년 대전시 중앙로 차 없는 거리행사가 주변 상권에 미치는 영향 분석, 충주시 시시티브이(CCTV) 설치 최적지와 안심길 분석 등을 통해 정책결정을 지원한 바 있다.
국토부는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 구축(건강보험공단), 스마트 불편신고 빅테이터 분석(서울시) 등 이번 협의회에서 논의하지 못한 5개 과제에 대한 협의회도 7월 초 추가로 개최할 계획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