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표원, 한국형 ‘광해(鑛害)’ 관리시스템 국제표준화 본격 추진

전해원

| 2017-09-28 10:24:02

제8차 ISO/TC 82(광업) 총회에서 국제표준 4종 제안 산업통상자원부 전경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한국형 광해관리시스템’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기로 하고 25일부터 29일까지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리는 제8차 광업국제표준화총회(ISO/TC 82)에 7명의 한국대표단을 파견했다.

광업분야의 국제표준화를 담당하는 광업국제표준화총회는 1955년 설립해 24개국의 정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36종의 국제표준을 제정했고 13종의 국제표준이 개발 중이다. 이중 우리나라는 4종의 국제표준을 제안하고 있다.

이번 총회에는 캐나다, 미국, 호주 등 20개국 50여명이 참가했고 한국광해관리공단이 주도해 신설한 광해관리 분과위원회(SC7)와 작업반(WG) 회의가 27일 진행됐다.

최근 광산개발의 환경피해 등을 다루는 광해(鑛害) 관리 표준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광해는 광산개발은 물론 폐광에 따른 수질오염, 지반침하 등 환경피해와 지역경제의 침체를 의미한다. 광해관리 표준화는 광산개발의 환경 피해 방지와 지속적인 광산 개발을 위해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제안한 4종의 국제표준 가운데 ‘한국형 광해관리 시스템’은 첨단센서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사후관리로 주변 환경에 대한 접근성이 좋은 것이 특징. 한국광해관리공단이 제안해 개발하는 ‘폐광산 광산배수 조사방법’은 폐광산에서 발생하는 광산배수의 산성도, 중금속 등 조사 항목과 현장조사 방법 등을 규정한 표준이다.

‘폐광산 광물찌꺼기 적치장 유지관리 절차’ 표준은 폐광 후 남아있는 광물찌꺼기 적치장의 지속적 관리 절차와 지반침하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한 유지관리 방법 등을 표준화 했다. 광업표준진흥회가 제안한 ‘폐광산 광해관리-복원절차’ 표준은 환경오염된 폐광산 지역에 대한 광해방지사업의 전과정을 표준화 한 것이다.

기표원 측은 “광해관리공단, 광업표준진흥회 등과 협력해 국제표준화를 적극 지원하고 몽골, 동남아시아 등 자원부국에 ‘한국형 광해관리시스템’을 보급해 나갈 예정이다”며 “이를 통해 광해관리 분야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경쟁력 강화와 폐광 후 비즈니스사업에 대한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