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제주·김해 공항 대형기 착륙료 감면 20%로 확대
김태현
| 2018-03-09 11:55:52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국내선 좌석난 해소를 위해 김해와 제주 공항의 국내선 대형 항공기 착륙료 감면율이 두배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는 김해·제주 공항 국내선 좌석난 해소를 위해 270석 이상 대형 항공기 착륙료 감면율을 현행 10%에서 20%로 확대할 계획이다.
제주·김해 공항의 국내선은 2013년 이후 여객 증가율이 각각 11.3%, 9.9%로 급격히 성장 중이다. 하지만 제주는 소형항공기 운항비중이 90%, 김해는 97%로 여전히 대형기 투입비중이 낮다. 지난해 항공 편당 평균 탑승률은 제주는 90.2%, 김해는 84.2%에 달할 정도로 좌석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현재 두 공항은 시설 용량이 포화상태로 노선 신설과 증편을 위한 ‘슬롯(공항에서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시각)’ 확보가 어렵다. 현재 제주 2공항(~2025년)과 김해 신공항(~2026년) 건설이 추진되고 있으나 완공 시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와 공항공사는 항공사들의 대형기 투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해 좌석난을 해소할 계획이다.
현재 중량이 큰 대형기의 경우 착륙료가 편당 약 72만원으로 소형기 약 15만원에 비해 크다. 공항공사는 2016년 9월부터 제주·김해 공항을 운항하는 270석 이상 대형기에 대해 ‘착륙료 10% 감면’을 시행해 지난해 총 5억9천만원의 착륙료 부담을 덜어주었다. 그 결과 대형기 운항이 김해는 13.1%, 제주는 23.3% 증가하고 연간 공급좌석은 92만 석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부는 약 6개월간 시범운영한 후 성과를 평가해 연장여부와 감면율 추가확대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국토부 주현종 항공정책관은 “제주·김해 공항은 단기간에 기반시설 확충이 어려운 만큼 단기적으로는 대형기 투입을 통해 공급 좌석량을 최대한 확대해 나갈 것이다”며 “시간대별 혼잡도를 고려해 항공사측과 운항 스케줄을 조율함으로써 대형기 투입으로 인한 혼잡이 가중되지 않도록 관리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