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전기난로 화재 12월 급증..높은 온도로 오랜 시간 사용 안 돼요
우윤화
| 2018-11-23 10:09:32
[시사투데이 우윤화 기자]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며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전기난로 사용이 늘고 있어 화재 안전에 각별한 주의를 행정안전부가 요청했다.
통계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전기난로(전기히터⸱전기스토브)로 인한 화재는 총 962건으로 66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전기난로 화재는 보조난방을 시작하는 11월부터 크게 증가하기 시작해 102건에서 12월에는 2.3배나 급증한 235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화재 발생 원인은 가연물 근접방치, 불씨⸱불꽃⸱화원 방치 등 ‘부주의’가 459건(4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적 요인 265건(27%), 기계적 요인 198건(20%) 순이다. 특히 전기적 요인 보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1.7배나 더 많이 발생하고 있어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내 난방을 위해 보조적으로 전기난로를 사용할 때는 한동안 쓰지 않았던 전기난로를 사용하기 전 고장 나거나 전기선이 벗겨진 곳은 없는지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전기난로에는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면 전원이 차단되는 안전장치가 있는데 난로를 켠 상태에서 위로 들어보면 쉽게 작동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기난로를 사용할 때는 높은 온도로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끈다.
아울러 전기난로를 다른 전기 제품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돼 위험하니 가급적 단독 콘센트나 전류차단 기능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최근 날씨가 추워지면서 전기난로 사용이 늘고 있다. 난로 주변에 불이 옮겨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주의하고 적정 사용온도를 지켜 화재를 예방해 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