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시장 이끌 '한전산업개발'과 '코센' 업무협약 체결
정명웅
| 2019-07-11 11:42:12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한전산업개발'(대표이사 홍원의)과 '코센'(대표이사 정행석, 조현권)이 지난 10일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시장의 조기 선점을 위해 태양광 폐패널 조달, 분리 및 재활용처리 기술개발, 태양광 폐패널 및 폐배터리 재활용사업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내 태양광 발전설비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보급이 확대되기 시작해 현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 1/4분기에만 615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가 보급됐고 연말까지 약 1.5GW가 추가로 보급될 것으로 예측되는 등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환경정책평가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의 실제 기대수명은 15~20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2020년을 기점으로 태양광 폐패널의 발생량이 급증, 2045년에는 국내 태양광 폐패널 누적 발생량이 155만3595톤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폐패널 회수 및 재활용 체계가 아직 구축되지 않아 현재 폐패널(실리콘계 패널 기준)의 처리수준은 일부 중고패널(출력 150Wp 이상)로 재사용하는 것에 그치는 정도다.
반면, 재사용이 불가능한 폐패널은 접속용 케이블과 알루미늄 지지대, 강화유리 등을 수작업으로 해체 후 재활용하고 그 외 부산물(실리콘, 백시트, 납, 은 등)은 매립 또는 소각 처분되고 있는 현실이다. 만일 다량의 폐패널이 지속적으로 단순 매립·소각 처분된다면 이는 환경오염과 자원 손실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전산업개발'과 '코센'은 각사가 보유한 기술력과 정보를 결합해 폐패널 재활용 기술 개발은 물론, 폐패널 재활용 시설 구축을 통해 국내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문제 해결책 마련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송관식 한전산업 발전본부장은 “세계적으로 태양광 발전시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태양광 폐패널도 증가해 향후 심각한 환경 문제가 야기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금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의 기술력을 더하여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개발과 재활용 시설 구축 등을 통해 관련 시장 선점은 물론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