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본부, 중국 내 폐 페스트 환자 2명 발생..국내 유입 가능성 낮으나 예의주시
정인수
| 2019-11-14 11:29:36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중국 베이징에서 폐 페스트 환자 2명이 확인돼 국내에서도 감염병 위기경보를 ‘관심’에 두고 예의주시 중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중국에서 폐 페스트 확진환자 발생이 보고됨에 따라 신속위험평가를 실시했다. 이 결과 국내 유입 가능성은 낮아 감염병 위기경보는 ‘관심’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 12일 중국 언론은 베이징에서 폐 페스트 환자 2명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환자 2명은 페스트 발생 풍토지역인 네이멍구(내몽골) 자치구 거주자로 베이징 여행 중 확진돼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현지 보건당국에서 방역조치를 취하고 있고 현재까지 추가 환자발생 보고는 없는 상황으로 확인되고 있다.
질병본부 측은 “국내 페스트 환자 유입 시 치료를 위한 항생제가 충분히 비축돼 있어 현 단계에서 대응 역량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돼 감염병 위기경보는 ‘관심’ 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했다.
또한 향후 상황변화에 대해 중국 보건당국, 세계보건기구(WHO)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가동해 발생상황을 주시하기로 했다.
현재 페스트는 마다가스카르(전지역), 콩고민주공화국 (이투리주)에서 유행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마다가스카르는 검역오염지역으로 지정돼 있어 현지 방문자는 귀국 시 건강상태질문서를 검역관에게 제출해 신고하도록 하고 있다.
페스트 감염 예방을 위해 유행지역 방문 시 쥐나 쥐벼룩,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감염이 의심되는 동물의 사체를 만지지 않아야 한다. 발열, 두통, 구토 등 페스트 증상을 나타내는 (의심)환자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페스트균에 감염 돼도 2일 이내에 발견해 항생제를 투여하면 치료가 가능하므로 유행지역 여행 후 발열, 오한, 두통 등 페스트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나 보건소에 연락해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