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5년 생활 곳곳 디지털 대전환…58조2천억원 투입
이윤지
| 2020-07-15 12:49:4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정부가 오는 2025년 디지털 뉴딜에 58조2천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90만3천개를 만들어 디지털 대전환 선도에 나선다.
앞서 정부는 14일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디지털 뉴딜은 그린 뉴딜과 함께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분야로 4대 분야 12개 추진과제로 구성돼 있다.
먼저 디지털콘텐츠, 자율주행차, 자율운항선박 등 산업분야에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 융합서비스를 확산하고 스마트공장, 의료, 치안 등 다양한 산업·공공 분야에 인공지능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6세대(6G) 이동통신,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홀로그램 등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제품·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에 인공지능(AI) 솔루션 구매 바우처를 제공할 계획이다.
전국 초중고, 대학, 직업훈련기관에는 온·오프라인 융합 학습환경을 구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2년 전국 초중고 전체교실에 고성능 와이파이를 구축하고 교원 노후 PC와 노트북 20만대 교체, 온라인 교과서 선도학교 1,200개교에 교육용 태블릿PC 24만대 등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에 인공지능‧로봇 등 4차 산업혁명 수요에 적합한 유망강좌의 개발을 확대하고 해외 MOOC와 협력해 글로벌 유명 콘텐츠도 도입할 예정이다.
감염병 위험에서 의료진과 환자를 보호하고 환자의 의료편의를 제고하는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의료 인프라를 구축한다. 만성질환자, 어르신, 장애인 등의 건강관리를 위한 비대면 의료 시범사업 인프라도 확충할 계획이다.
비용부담, 경험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원격근무 인프라와 컨설팅을 지원하고 중소·벤처 기업이 밀집한 지식산업센터, 창업보육센터 등 전국 주요 거점에 공동 활용할 수 있는 화상회의실도 구축할 계획이다.
소상공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소상공인 32만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획전·쇼핑몰, 라이브커머스 입점 등을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 기술을 소상공인 사업장에 적용한 스마트상점 10만개, 스마트 공방 1만개도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교통, 방범, 방재 등 분야별로 운영되던 CCTV를 통합 연계한 '지자체 CCTV 통합플랫폼'을 구축한다. 또한 현실세계의 기계,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를 세종(5-1구역)과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에 2023년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도로, 철도, 항만 등에는 디지털 관리체계가 구축된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망 구축을 위해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에 디지털 관리체계를 도입한다. 안전한 국토, 시설 관리 등을 위해 도로, 지하공간, 항만에는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다. 재난 대응을 위해 재해 고위험지역에 경보시스템 설치, 재난관리자원 통합관리시스템도 구축된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물류 인프라도 확충해 나간다. 신속한 물류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스마트 물류단지·센터를 확충하고 수출입 물류 효율화를 위해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항만 물류 인프라의 디지털화도 추진한다. 또한 로봇,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첨단 물류기술 개발과 현장적용을 위한 실증도 추진할 계획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