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세계적인 치열한 경쟁 속에서 앞으로 5년이 미래차 시장 선도하는 골든타임 될 것"
윤용
| 2020-10-30 19:22:24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미래차는 자동차 산업의 판도를 완전히 바꿔놓고 있다"며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가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을 제치고 기업 가치 1위로 올라섰다. 미래차의 성능과 품질을 결정하는 2차전지,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열린 정부의 '친환경 미래차 육성전략' 발표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미래차는 전자, 화학, 광학, 기계, 에너지 등 전후방 산업이 광범위하다"며 "내연차보다 부품이 줄어 자동차 생산의 진입장벽이 낮아졌고, 자율주행 부품과 같은 새로운 분야에 중소벤처기업의 성장 기회가 열렸다. 수소차는 수소 드론, 수소 철도, 수소 선박, 수소 건설기계같이 연관 산업의 발전을 이끌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언급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세계 자동차 시장은 미래차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될 것"이라며 "전기차 경쟁이 불붙었고, 테슬라는 자율주행과 친환경차를 융합한 모델을 시장에 내놓고 있으며, 우리도 담대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자동차 강국을 지키고 4차 산업혁명 선도국가로 올라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유럽의 브랜드, 중국의 가격경쟁력을 뛰어넘을 획기적인 성능개발과 함께 고도의 자율주행 상용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한국판 뉴딜 10대 사업에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를 선정했고 2025년까지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에 20조 원 이상 투자할 계획이다. 도로 시스템과 산업생태계를 전면적으로 보완하고, 크게 세 가지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미래차 보급에 속도를 내겠다"며 "2022년을 미래차 대중화의 원년으로 삼고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 대, 수소차 20만 대를 보급하겠다. 2027년 세계 최초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겠다"고 했다.
또 "핸드폰처럼 수시로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차 충전소는 2025년까지 아파트, 주택 등 국민들의 생활거점에 총 50만기, 고속도로 휴게소 등 이동 경로에 1만5000기를 공급하겠다. 수소차 충전소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100곳을 완공하고, 2025년까지총 450곳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공공 유휴부지 활용과 충전소 경제성 확보 방안 등 추가 대책을 마련했다"며 "충전 인프라 없이는 늘어나는 미래차를 감당할 수 없다. 제때 완공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의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부터 공공기관의 신차 구매와 공공기관장 차량은 모두 전기차와 수소차로 전환한다. 택시와 버스회사 등 대규모 차량 구매자에 대한 친환경차 구매목표제를 추진하겠다"고 거론한 뒤 "보조금과 세제 혜택, 연료비 부담을 낮춰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환경 개선 효과가 큰 트럭과 버스 같은 상용차에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미래차와 연관 산업을 수출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 관련 일자리를 확대하겠다"며 "2025년까지 전기차 46만 대, 수소차 7만 대를 수출하고 부품·소재와 연관 산업 수출을 확대해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세계 1위의 2차전지·연료전지를 제2의 반도체로 육성하고 2차전지 소재·부품·장비를 연 매출 13조 원의 신산업으로 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미래차가 중심이 되는 산업생태계로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며 "자율배송, 자율주행차, 헬스케어 같이 자율주행 기술을 폭넓게 활용할 것이다. 완전 자율주행차 안전기준 마련 등 자율주행 인프라를 차질없이 갖추고, 자율주행 관련 양질의 데이터 댐을 구축하여 중소·중견기업의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업재편지원단’을 만들어 2030년까지 1000개의 자동차 부품기업이 미래차 사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사업재편 전용 R&D 등 다양한 지원을 추진하겠다"며 "총 3500억 원 이상 규모의 펀드를 벤처·스타트업에 투자해 미래차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겠다. 미래차시대를 대비해 정비시스템을 완비하고, 우수 현장인력 2000명을 양성하는 한편 생산에서 폐기까지 전 주기 친환경화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세계적인 치열한 경쟁 속에서 앞으로 5년이 미래차 시장을 선도하는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이미 많은 부분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만든 수소차와 전기차의 안전성과 우수성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끝으로 "반세기 만에 자동차 생산 강국으로 도약한 우리는 세계를 선도하는 열정과 저력에 기술력까지 갖췄으며, 확실한 미래차 강국으로 도약할 날이 머지않았다"며 "국민 여러분의 손을 잡고 반드시 새로운 미래차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