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1차관,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협상 참가…5개국 핵협상 대표들 만나
전해원
| 2022-01-06 12:23:5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4~9일 일정으로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협상이 열리는 오스트리아 빈을 방문 중에 5개국 핵협상 대표들과 만났다.
6일 외교부는 5일 최 차관이 미국의 로버트 말리 이란 특사 및 엔리케 모라 EU 대외관계청(EEAS) 사무차장을 면담하고, 필리프 에레라 프랑스 정무총국장 등 프랑스·독일·영국 측 JCPOA 협상 대표들도 접견했다고 밝혔다.
이번 일정에서 빈을 찾은 최 차관의 첫 공식 일정이다.
최 차관은 대표들과의 면담에서 핵협상 동향을 청취하고 이번 협상이 중요한 국면에 이르렀다는 데 공감했다. 또 협상 당사자들이 긍정적 진전을 이루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이란 핵협상 진전을 위해 우리 정부도 외교적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가능한 역할을 적극적으로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JCPOA 복원 협상 참가국이 아닌 한국에서 외교부 고위 당국자가 협상 현장을 방문한 배경을 두고 관심이 쏠린다.
외교부 당국자는 "더 늦기 전에 동결자금 문제 해결을 위한 기회로 최대한 활용해보고자 하는 것이 우리 입장"이라며 "이번 협상이 한반도 비핵화에 함의를 지닐 수 있단 점도 고려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정부는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한국 내 동결된 70억달러(약 8조3800억원) 규모의 이란 원유수출 대금을 돌려주는 방법을 모색해왔다. 이는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각국 금융기관에 동결된 이란 원유 결제대금 중 가장 큰 규모로 알려졌다.
전임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타결된 JCPOA에서 2018년 일방적으로 탈퇴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후보 시절부터 트럼프 정부의 JCPOA 탈퇴를 비판해온 조 바이든 대통령은 JCPOA 복원을 주요 국정과제로 내세웠다.
당사국인 이란과 P5+1(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독일)은 지난해 4월 JCPOA 복원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는 상황이다. 미국은 협상에 대표단을 파견하고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8차 협상을 시작한 당사국들은 새해 휴일을 보낸 뒤 3일 협상을 재개했다. 이들은 오는 2월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