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돌봄 사각지대 해소..'긴급돌봄' 15개 시도로 확대
이지연
| 2022-01-26 11:55:56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아동, 노인, 장애인 등에 대한 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올해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15개 시도로 긴급돌봄 서비스가 확대된다.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기존 돌봄서비스로 해결이 어려운 돌봄 공백에 대응하기 위해 '2022년 긴급돌봄 사업'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긴급돌봄 서비스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기존에 이용하던 돌봄서비스가 중단되거나 돌봄 제공자가 코로나19 확진 또는 밀접접촉자로 격리돼 돌봄이 필요한 아동·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사각지대에 방치되지 않도록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이다.
그동안 긴급돌봄 사업은 코로나19 발생 초기 대구시를 비롯한 일부 시·도 사회서비스원에서 가정, 시설 등에 요양보호사 등 돌봄 인력을 파견해 돌봄을 제공해 왔다.
올해는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등 총 15개 시·도로 확대해 사회서비스원을 통한 긴급돌봄을 수행한다. 충북의 경우 사회서비스원이 설립되기 전까지 가사·간병 방문 기관 등 지역 내 돌봄 기관을 활용해 긴급돌봄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코로나19로 자가격리 돼 보호자의 돌봄 제공이 어렵거나 기존 돌봄서비스가 중단된 경우 그 밖에 긴급하게 돌봄이 필요한 경우 각 시‧도에 설립된 사회서비스원(1522-0365)에 문의하면 긴급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복지부는 올해 17개 시·도 전체로 사회서비스원을 설치할 계획이다. 올해는 충북, 부산, 경북 3개 시·도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원 설립을 지원한다. 1월 26일부터 2월 28일까지 신규 사회서비스원 설치를 희망하는 시·도의 설립계획을 접수한 후 3월 중 최종 지원 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복지부 심은혜 사회서비스자원과장은 “긴급돌봄사업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돌봄 취약계층이 안정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며 “일상생활에서 기존 돌봄서비스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