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9개 경자구역 2031년까지 사업체 6600개 ·일자리 21만개 창출
정명웅
| 2022-02-14 17:29:51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전국 9개 경제자유구역(이하 경자구역)이 2031년까지 사업체 6600개를 추가 입주하고 일자리 21만개를 창출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9개 경제자유구역청(이하 경자청)이 경제자유구역을 신산업‧지식서비스산업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9개 경자청은 발전계획 추진을 통해 2031년까지 국내‧외 추가 투자유치 51조원(누적 91조원), 입주 사업체 6600개 추가 유치(누적 1만3000개), 일자리 21만개 창출(누적 38만명) 등 발전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자유구역별로는 바이오·헬스케어, 모빌리티, 에너지, 첨단기술·부품, 물류, 휴양·관광 등이 육성된다.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인천 경자구역이 바이오클러스터 확대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전주기 밸류체인 확보에 나선다. 이를 위해 2020년 매출 2조원, 고용 5천여명, 생산역량 56만리터 규모를 2031년까지 매출 15조원, 고용 2만여명, 생산역량 100만리터로 올릴 계획이다.
충북은 산학연 기반과 국제협력으로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와 신약개발 집적화에 나선다. 대구 경북은 스마트 의료기기 제조 활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연구기관·방사광 가속기 등을 연계해 의료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경기 경자구역이 인근지역 자동차산업 여건과 클러스터 활용해 중소·벤처기업 유치와 실증환경을 제공한다. 광양만은 양그X 생산 규모 확대, 전구체 공장 신규 유치, 지역 연구소 연계 등을 통해 이차전지 생산 기지화를 구축한다.
첨단기술‧부품 분야는 부산 진해가 기존 기계·소재 부품 관련 기반과 세계 최고 선박경쟁력을 기반으로 첨단 소재부품기업 유치, 해양 융복합 경량소재 밸류체인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광주는 국가 AI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를 기반으로 인재양성, 창업생태계 조성을 통해 미래 혁신성장을 이끌 인공지능(AI) 핵심거점으로 도약을 준비한다.
정부는 "경자청의 발전계획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경자구역별 추가개발 수요에 대해서는 핵심전략산업 투자 목적의 실수요 중심으로 수시로 검토하고 투자유치와 일자리창출 성과가 우수한 경자구역을 대상으로 기반시설 지원과 맞춤형 기업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할 계획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