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활용 국도 교통사고 위험 예측..시범운영 개시
정인수
| 2022-08-17 10:57:22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시스템(T-Safer)를 국도 분야에 적용해 18일부터 시범운영 한다고 밝혔다.
T-Safer는 교통안전 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사고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교통사고 예측 시스템이다.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과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 5월부터 17번 국도 여수∼순천 구간 약 48km와 21번 국도 전주∼익산 구간 약 23km를 시범사업 구간으로 정했다.
T-Safer는 기관별로 산재된 교통안전 관련 데이터를 통합해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이다. 데이터는 운전자 운행특성 정보, 교통사고정보, 속도정보, 차량운행정보, 보행관련정보, 도로시설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로 구간을 500m 단위의 링크로 구분해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각 구간마다 교통사고 위험도를 0~4단계로 예측해 교통안전 위험지도에 표출한다.
구분된 링크 중 위험도가 3단계 이상인 구간은 위험요인 분석과 함께 종합 솔루션인 세이프티 리포트(Safety Report)를 작성해 매월 15일까지 도로운영자에게 제공한다. 이어 솔루션이 포함된 리포트를 참고해 교통안전 개선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교통사고 예방대책에 활용하게 된다.
아울러 T-Safer시스템은 폐쇄회로(CCTV) 화면을 기반으로 자동차 속도, 교통량, 위험운전 행동을 분석해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질 경우 실시간으로 전광판(VMS)을 통해 운전자에게 교통사고 위험성을 알려주는 기능도 선보인다.
국토부 윤진환 종합교통정책관은 “지금까지는 교통사고 발생 후 도로구조가 개선되는 사후적 교통안전관리 방식이었다면 T-Safer는 사전적·예방적 교통안전관리시스템으로서 실제 도로에 최초로 적용한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