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적체 대비 공공비축 추진..9개월 간 1만9천톤
정명웅
| 2022-10-20 12:52:47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정부가 최근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국내외 폐지 수요가 급감하면서 폐지 적체에 대비하기 위해 '폐지비축'에 나선다.
환경부는 폐지 압축상과 제지공장에 적체된 폐지를 정부의 공공 비축창고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등 폐지 공공비축을 오는 21일부터 내년 6월까지 9개월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버려진 종이는 수거돼 폐지 압축상에 모인 후 압축된 상태로 제지공장에 판매되거나 국외로 수출된다. 하지만 최근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국내외 폐지 수요가 급감하면서 페지 압축상과 제지공장에 폐지가 쌍이고 있다. 일반적인 국내 제지공장의 폐골판지 재고량은 7~8만톤이나 올해 9월 기준 재고량은 15만톤 수준이다.
폐지 압축상이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폐지를 받을 수 없게 되면 수거업체도 공동주택 등에서 배출된 폐지 수거를 거부하는 사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환경부는 폐지 재고 상황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정부가 보유한 양주·음성·안성·청주·정읍·대구 전국 6개 비축창고에 약 1만 9천톤의 폐지를 9개월간 비축한다. 관련 업계에는 폐지 보관료와 운반비 등을 지원한다.
환경부는 그동안 수거 적체 상황을 대비해 공공비축 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6곳에 폐지와 같은 재활용품 3만5천 톤을 비축할 수 있는 공공 비축창고를 조성했다. 또한 지난해부터 제지사, 원료업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 합동 폐지수급관리위원회 등을 통해 폐지 수급 관련 협력체계를 가동 중에 있다.
정선화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폐지 수거거부로 인한 국민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제적인 조치를 적극 추진하겠다"며 "국민들도 골판지 테이프, 택배 스티커와 같은 재활용이 어려운 이물질 등을 최대한 제거해 배출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