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중요어업유산 사후관리 강화..세계유산 등재 추진
이윤재
| 2023-01-25 13:18:12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올해부터 국가중요어업유산에 대한 사후관리가 강화된다.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지원하는 사업도 추진된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내용으로 '국가중요어업유산 활용관리 사업'에 착수한다고 25일 밝혔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어촌지역의 환경, 사회, 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시켜 온 유‧무형의 어업자원 중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는 자원으로 해수부장관이 지정한다. 2015년 '제주 해녀어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남해죽방령, 신안천일염, 완도김양식, 신안홍어, 경남숭어 등 총 12개소가 지정돼 있다.
환경부는 그 동안 신규 지정된 국가중요어업유산에 대해 유산 보전을 위한 조사, 자원과 환경정비, 부대시설 조성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행해 왔지만 해당사업 완료 이후에는 다른 지원 사업이 없어 자원의 지속적인 보전과 관리에 한계가 있었다.
해수부는 이미 지정한 국가중요어업유산의 체계적인 사후관리를 위해 세계유산 등재 추진, 국가유산 활용관리 등을 새롭게 추진한다.
특히 세계식량농업기구(FAO)에서 지정하는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위한 지원을 강화한다. 현재 제주 해녀어업과,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어업은 세계식량농업기구 등재 심사 중에, 남해 죽방렴 어업이 등재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아울러 국가중요어업유산의 가치를 높이고 더 많은 국민에게 알릴 수 있도록 어업유산 축제 개최, 홍보자료 제작, 모니터링, 컨설팅 등도 확대할 예정이다.
김원중 해수부 어촌어항과장은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전통 어업자원의 보전이라는 본래의 목적 이외에도 해당 수산물의 부가가치 상승과 관광객 유치 등을 통한 지역 경제의 미치는 영향도 크다"며 "어업인만의 유산이 아닌 국민에게 가치 있는 국가중요어업유산 제도로 자리 잡을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