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무역장벽 해소..수상태양광 단계적 확대

이윤지

| 2023-03-08 15:36:27

수출 기업 대상 수상태양광 정책 간담회 개최 환경부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댐 저수를 활용한 수상태양광 보급이 확대된다.

환경부는 '재생에너지 100% 사용(RE100)' 가입 및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8일 오후 세종정부청사 6동 종합상황실에서 '수상태양광 정책 간담회'를 개최한다.

RE100​은 기업이 2050년까지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만 충당하겠다는 자발적인 국제운동으로 2022년 말 기준 전 세계 397개사, 국내 27개사 참여 중이다.

이번 간담회에는 유제철 환경부 차관을 비롯해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 RE100 가입 기업인 삼성전자, 에스케이 이엔에스, 한화솔루션, 네이버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수상태양광 사업과 관련한 현안 사항을 공유하고, 관련 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수상태양광은 재생에너지와 해양기술이 결합된 융복합 발전시설로 수면에 부유하는 태양광 발전시설이다. 물 위에 설치하기 때문에 산림훼손이 없고 수면의 냉각효과로 육상태양광보다 발전효율이 약 5% 정도 높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수상태양광은 탄소중립 무역장벽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댐 수면에 설치된 수상태양광은 2012년 합천댐에 최초로 설치된 후 지금까지 환경안전성 평가 결과 수질‧퇴적물, 생태계 변화 등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

수상태양광은 한정적인 국내 재생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또한 주민참여제도를 활용해 발전수익을 지역주민들과 공유하며 점차 설치지역이 확대되고 있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환경부는 2030년까지 단계적 확대를 통해 댐 수면 19곳에 총 1.1G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 시설을 개발할 예정이다.

유제철 환경부 차관은 "철저한 환경안전성과 주민수용성의 확보를 전제로 수상태양광의 보급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국내 기업이 RE100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