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 심의 AI 의학자문 활용..5일⟶즉시 확인
정미라
| 2023-07-26 14:43:26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이르면 올해 말부터 산업재해에 따른 요양기간 산정 과정에 자문의사를 대신해 인공지능(AI)이 부분적으로 의학자문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27일 의료기관이 제출한 산업재해 요양기간의 타당성 여부를 AI으로 빠르게 판단해 자문하는 '인공지능(AI) 의학자문 모델'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모델 개발은 행안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와 1000만 건 이상의 산재 근로자 관련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근로복지공단이 협업을 통해 진행한다.
모델이 개발되면 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과거 자문사례를 학습한 AI가 산재 근로자의 질병과 증상에 맞는 합리적인 수준의 요양 기간을 제시하게 된다.
현재는 산재로 인해 요양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요양기간을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 근로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이 요양기간, 치료방법 등이 포함된 진료계획을 공단에 제출해야 한다. 자문의 대부분이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위촉 자문의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만큼 자문 의뢰부터 결과 확인까지 약 5일가량이 소요되고 있다.
자문모델이 현장에서 활용되면 기존에 이루어진 자문 내용과 성격을 토대로 볼 때 단순사례에 해당하는 약 80% 가량에 대한 자문을 AI가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행안부는 내다봤다.
이용석 공공데이터정책관은 "산재로 어려움에 처한 근로자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업무 체계를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정부 역할 중 하나다"며 "국민안전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데이터 분석과제를 지속 발굴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