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락두절 위기가구 찾아낸다..위기정보 입수 44→45종 확대
정미라
| 2024-03-25 09:57:35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보건복지부가 위기가구 발굴에 활용되는 위기정보를 늘려 복지사각 지대에 적극 나선다.
복지부는 25일부터 5월 17일까지 약 2개월간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협조해 '2024년 2차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복지 사각지대 발굴은 격월로 연간 6회 진행하고 있다. 단전, 단수 등 19개 기관의 위기정보를 입수해 경제적 위기 가능성이 높은 대상을 선별해 지방자치단체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전담팀'에서 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복지 사각지대 발굴은 약 20만 명 규모로 진행될 예정으로 위기가구 발굴에 활용되는 위기정보는 국민연금공단의 노후 긴급자금 대부 대상자를 새로 추가해 기존 44종에서 45종으로 늘어난다. 또한 현재 입수 중인 금융연체자 정보를 연체금액 외에 채무액을 추가하고 의료위기 정보 2종의 대상자 범위도 중증질환 산정특레 등록자와 미등록자로 확대했다.
앞서 복지부는 행정안전부, 지자체와 협력해 소재 확인이 필요한 연락 두절 가구 2만 명에 대해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주민등록지와 실거주지가 일치하는 1만4천 명은 상담을 통해 복지서비스를 지원하고 연락이 닿지 않는 6천 명에 대해서는 휴대전화 번호 확인, 복지등기 서비스 등을 통해 소재를 파악할 계획이다.
또한 맞춤형급여안내(복지멤버십) 가입자나 기존 복지서비스 신청자 중 소득인정액이 낮아져 추가적으로 현금성 급여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대상자 2천 명도 조사 대상에 포함할 예정이다.
복지부 임을기 복지행정지원관은 "이번 사각지대 발굴을 통해 누락 없이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조사를 진행하고 확대된 위기정보를 활용해 위기가구 발굴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