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근로자 요양 기간 연장 신청 AI가 알려줘요..심사 4일로 단축

홍선화

| 2024-07-02 14:26:25

'산재보험 AI 요양기간 분석 지원 모델' 본격 활용 행정안전부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정부가 산재 근로자 요양 관리 분야에 활용될 인공지능(AI) 기반 요양 기간 분석모델 개발을 마치고 현장 활용에 나선다.

행정안전부와 근로복지공단은 '산재보험 AI 요양기간 분석 지원 모델' 개발 및 검증을 마무리하고 산재 요양 관리에 본격 활용한다고 2일 밝혔다.

최근 산재보험 적용 범위 확대로 산재 신청 건수는 2021년 16만8927건, 2022년 18만1792건, 지난해 19만6206건으로 2021년 대비 16.2% 증가했다.

그동안 근로복지공단에서는 산재 근로자가 요양 기간 연장을 신청하는 경우 적정성 여부를 공단 소속 20여 명의 상근의사와 1300여 명의 비상근 위촉 자문의사를 통해 검토해 왔다.

자문 업무의 대부분이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위촉 자문의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만큼 신청부터 결과 확인까지 약 8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됐다. 또한 자문 대상인 산재 신청 내용의 약 80% 가량은 판정 결과가 명확한 단순 자문에 해당해 그간 데이터 기반의 자문업무 효율화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해당 모델은 최근 5년간 요양이 종결된 재해자 58만 명의 요양 정보, 상병 정보 및 주치의 소견 등 약 800만 건의 데이터가 활용됐다. 상병 내용과 연령 및 성별이 동일한 재해자의 요양 기간을 분석하여, 인공지능(AI)이 산재 요양 예측 일수를 제시하도록 설계됐다.

성능 검증 과정에서는 지난해 요양이 종결된 12만 명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AI 요양기간 분석 모델 적용 결과를 분석·검토해 현장 활용에 필요한 신뢰성을 확인했다.

행안부와 공단은 데이터 기반 요양 관리를 통해 진료기간 연장 심사에 약 8일 정도 소요되던 처리 기간을 4일 이상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근로자 요양 관리 업무에 AI을 활용할 수 있게 돼 행정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AI 요양기간 산정모델은 데이터 기반 행정을 통해 업무 처리 방식을 개선하고 국민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대표적 사례다"며 "AI와 데이터 분석 활용 범위를 넓혀 국민과 현장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계속해서 만들어가겠다"고 했다. ​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