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만에 출생자 수 증가..주민등록 인구는 5년 연속 ↓

정미라

| 2025-01-03 11:24:04

3일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분석결과 발표 행정안전부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출생자 수가 9년 만에 증가했다.

행정안전부는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분석결과 우리나라 출생(등록)자 수가 24만2334명으로 2023년 23만5039명 보다 7295명(3.10%) 늘었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출생(등록)자 수는 24만2334명, 사망(말소)자 수는 36만757명으로 2023년 대비 각각 7295명(3.10%), 6837명(1.93%) 증가했다.

출생(등록)자 수는 2016년 41만1859명에서 2017년 36만2867명, 2018년 33만4115명, 2019년 30만8697명 등으로 8년 연속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남아(12만3923명)의 출생등록이 여아(11만8411명) 보다 5512명 더 많았다.

이와 함께 주민등록 인구는 2020년 5182만9023명에서 2021년 5163만8,809명, 2022년 5143만9038명, 2023년 5132만5329명, 올해 5121만7221명으로 5년 연속 줄었다. 성별로는 여자(2571만8897명)가 남자(2549만8324명) 보다 22만573명 더 많았다.

주민등록 인구의 평균연령은 45.3세로 전년 44.8세에 비해 0.5세 늘었다. 여자 46.5세가 남자 44.2세 보다 2.3세 더 많았다.

전국 평균연령에 비해 수도권(44.3세)은 1.0세 낮은 반면 비수도권(45.9세)은 0.6세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의 평균연령이 수도권 보다 1.6세 높았다.

연령대별 주민등록 인구 비중은 50대가 870만6370명(17.00%)으로 가장 많고 60대(15.27%), 40대(15.08%), 70대 이상(12.94%), 30대(12.93%), 20대(11.63%), 10대(9.02%), 10대 미만(6.13%) 순이었다.

전체 주민등록 2411만8928세대에서 1인 세대는 41.97%, 2인 세대 24.90%, 3인 세대 16.80%, 4인 이상 세대16.33% 순으로 많았다.

전체 1인 1012만2587세대 중 65세 이상 1인 세대는 299만6207세대로 29.60%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1인 세대 중 여자(197만4924세대)가 남자(102만1283세대) 보다 95만3641세대 더 많았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는 2604만7523명(50.86%), 비수도권 인구는 2516만9698명(49.14%)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수도권은 3만3258명(0.13%)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14만 1366명(0.56%) 감소했다.

행안부 김민재 차관보는 “우리나라는 5년 연속 인구가 감소했지만 9년 만에 출생등록자 수가 증가하며 긍정적인 변화의 기미를 보였다”며 “출생아 수 반전의 추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협업해 양육환경을 개선하고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