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62.3% 북한가족 ‘생사확인’ 교류 희망

이윤재

| 2025-01-24 12:10:44

제4차 남북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 발표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이산가족 4명 중 3명(75.5%)은 북한에 있는 가족․친척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할 정책은 ‘전면적 생사확인(77.2%)’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지난해 실시한 ‘제4차 남북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국내외 거주 '이산가족찾기 신청자' 중 생존자 3만6017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했다. 국내 3만5542명, 해외 475명이다.​

국내 거주 신청자의 경우 성별은 남성(61.9%)이 여성(38.1%)보다 많았다. 연령대는 80대 이상이 63.6%, 거주지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이 63.3%로 나타났다. 해외 거주 신청자도 남성(57.5%)이 여성(42.5%)보다 많고 연령대는 80대 이상이 60.9%를 차지했다. 거주 국가는 미국이 75.6%로 가장 많았다.

국내 거주 신청자를 대상으로 이산가족 교류에 관한 개인별 참여 희망 여부를 파악한 결과 북한가족의 생사확인(62.3%), 상봉(57.2%), 서신·영상편지 교환(52.1%), 고향 방문(43.0%)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꼐 국내 전수조사 참여자 중 성·연령·거주지역 등을 토대로 비례 배분해 선정된 5103명을 대상으로 이산가족 교류 실태 및 정책 인식 등에 대한 심층조사를 실시했다. 이 결과 선호하는 이산가족 교류형태와 관련해서는 생사 확인(55.3%), 대면상봉(14.4%), 고향방문(3.5%) 등으로 응답했다. ‘원하는 교류형태가 없다’고 답한 응답자도 19.4%를 차지했다.

이산가족들은 정부가 이산가족의 아픔을 위로하고 국민적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이산가족 특집방송 제작(52.8%) △고향사진·영상 수집·전시(44.5%) △가족사진 복원(34.4%)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일부는 이산가족 실태조사는 2011년 이래 5년마다 실시해 왔으나 이산가족의 고령화를 고려해 지난해 이산가족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조사 주기를 3년으로 단축했다. 당초 2026년 실시 예정이던 실태조사는 지난해 실시됐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