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 취약계층 자활도 맞춤형으로
김성일
news25@sisatoday.co.kr | 2009-06-16 14:10:34
보건복지부가족부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빈곤층의 빈곤탈출 확대 및 자활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7월부터 ‘자활인큐베이팅사업’을 시범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자활인큐베이팅사업’이란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 취약계층이 본인의 적성과 욕구에 맞는 자활, 자립경로를 작성하면 정부가 맞춤형 서비스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연계 또는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기존의 근로취약계층대상 복지부 자활사업은 시,군,구나 지역자활센터에서 배정하는 자활사업단에만 참여할 수 있어 참여자의 적극성이나 자발성을 유인하기 어렵고 역량발휘에도 한계가 있음이 지적됐었다.
금번 시범 실시되는 ‘자활인큐베이팅사업’은 자활사업 참여대상인 근로 능력이 있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차 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참여자들은 6개월에서 최대 1년까지 자립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 지원과 1일 2만 8천 원씩 별도의 급여를 지급받는다.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은 대상자별로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자활사업수행기관이 참여자와의 초기상담으로 직업능력, 자활의지, 적성 등을 심층 분석해 자립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취업을 원할 경우에는 타 기관 취업프로그램을 연계하거나 세부계획에 따른 직업훈련·자격증취득 등을 통해 직업능력을 높여 지역 내 다양한 취업네트워크를 통해 구직활동을 지원해준다. 창업을 원할 경우는 자활사업수행기관과 참여자가 함께 창업아이템을 선정하고 시장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사업성 여부를 판단하여 유사업종 파견근무와 자금융자 등을 지원한다. 또한 기존에 구성된 자활근로사업단에서 인턴과정을 두루 거치면서 본인의 적성 및 특성에 맞는 사업단을 선택해 참여할 수도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거쳐 내년부터 자활사업프로세스에「자활인큐베이팅사업」을 정식으로 도입해 전국적으로 실시해 나갈 계획이다.
김성일 기자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