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일자리 창출 위한 Post-희망근로 사업 중점 추진

신경화

| 2010-08-27 22:03:33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청년창업 등 8만 4천개 일자리 창출 계획 행정안전부

[시사투데이 신경화 기자] 행정안전부는 28일 16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제8차「지역일자리 창출 전략회의」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희망근로 프로젝트 등 상반기 자치단체 지역일자리 추진 성과에 대해 점검하고 하반기 중점 추진과제인「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등 Post-희망근로 사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논의했다.

244개 모든 자치단체장이 함께 모인 가운데 ‘지역일자리 창출 활성화 방안’(3.4, 제3차 국가고용전략회의)을 마련함으로써 「지역일자리 정책」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정립했다.

또 16개 시·도 부단체장과 7차례에 거친「지역일자리 창출 전략회의」를 개최함으로써 중앙의 고용정책이 전 지자체에 즉시 전파․확산되는 유기적 연계 체계를 확립했다.

특히, Post-희망근로 사업 재원 약 6,700억원 전액을 축제예산 등 지자체 경비절감 등을 통해 마련한 것은 어려운 지방재정에도 불구하고 지역일자리의 중요성을 감안한 특기할 만한 성과였다.

244개 모든 지자체에 일자리추진단 및 지역일자리 지원센터가 구성․운영됨으로써 일자리업무가 지자체의 핵심 업무로 정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상반기에는 희망근로를 통해 약 10만 명의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였고, 약 12만 7천명을 민간 일자리로 취업연계 하는 등 실업률 감소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8월로 사실상 종료되는 2010년 희망근로 프로젝트를 대체하는 하반기 Post-희망근로 추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먼저, 취약계층을 위한「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이 오는 12월까지 연간 5만 명 규모로 추진될 예정이고 지역의 특성 및 자원을 활용, 주민 주도의 공동체 활성화사업으로 추진되는 「자립형 지역공동체사업」이 오는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추진되어 지속적인 소득창출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유지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청년실업률의 심각성을 해소하기 위해 청년 CEO 3,200명을 육성하고, 창업공간을 확대하는「청년창업 프로젝트」가 16개 시도별 200개 규모로 9월부터 시작된다.

안양호 행정안전부 제 2차관은 “상반기 희망근로사업의 철저한 마무리와 Post-희망근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주길 바란다”며 “특히 청년실업률 해소를 위한 청년창업 등에 지자체에서 특단의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