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계약조직 통합해 전문성 높여
박미라
| 2010-09-08 11:50:12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행정안전부는 자치단체의 본청과 사업소 등으로 분산되어 있는 계약조직을 본청으로 통합해 전문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자치단체는 업무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사업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시․도의 경우 평균 19개소, 시․군․구의 경우 3~5개소 정도의 사업소를 운영하고 있다.
사업소에서 자체적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것은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계약업무의 비전문성으로 인한 부적정한 계약업무 처리와 예산낭비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지방자치단체 계약조직 통합계획」을 마련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사업소 계약업무를 본청으로 통합할 계획이다.
사업소에 발주하는 종합공사 2억원(전문공사 1억원), 용역․물품 5천만원 이상인 사업에 대해서는 본청에서 계약을 체결하되, 각 자치단체에서 계약물량을 고려해 대상사업 기준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할 계획이다.
계약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본청과 사업소의 특성을 반영해 계약업무를 적정하게 분담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사업소에서 이관되는 계약물량을 처리하기 위해 사업소의 일부 계약인력을 본청 계약부서로 조정해 자치단체 실정에 맞게 계약조직을 보강하도록 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계약조직 통합방안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서울시, 제주자치도 및 평택시 등 일부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고 내년 이후 전 자치단체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정헌율 행정안전부 지방재정세제국장은 “이번에 시행되는 계약조직 통합은 지난해 12월에 확정한 「지방계약 선진화방안」의 일환이다”며 “계약조직이 통합되면 자치단체의 계약업무가 보다 전문화․투명화 되어 예산절감을 통한 지방재정 건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