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서비스 ‘스마트’하게 이용, 내 손안의 전자정부시대 개막

전희숙

| 2011-03-29 11:08:29

행안부, 스마트 전자정부 (Smart Gov) 추진계획 발표 이젠 정부서비스도 스마트하게, 내 손안의 전자정부시대 개막

[시사투데이 전희숙 기자] 행정안전부는 2010년 UN 전자정부 평가 1위 이후, ‘세계 최고의 전자정부’ 위상을 지속하기 위한 󰡔스마트 전자정부(Smart Gov) 추진 계획󰡕을 수립․발표했다.

기존 전자정부 서비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소셜네트워킹, 클라우드 컴퓨팅 등 모바일 환경으로의 급속한 변화와 첨단 IT 기술의 발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스마트 시대’로의 거대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예전에는 정부가 전자정부 시스템을 구축하고 국민들이 가정이나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를 이용해 접속하기를 기다렸으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컴퓨터가 탑재된 모바일 기기가 국민들의 손안에서 하루종일 생활하게 됨으로써, 기존 전자정부 서비스들도 이젠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더 똑똑해(Smart)’질 필요가 생겼다.

앞으로 추진될 스마트 전자정부는 진화된 IT기술과 정부 서비스의 융·복합으로 언제 어디서나 매체에 관계없이 국민이 자유롭게 원하는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이용하고, 참여·소통할 수 있는 선진화된 정부를 지향하고 있다.

행안부는 민원24·홈택스·나라장터·국가대표포털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기존 정보시스템들을 스마트폰·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고도화하는 한편, 이동성·카메라·위치기반·증강현실 등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활용해 지역생활 불편신고 서비스, 인허가 가능지역 진단서비스 등 기존 PC환경에서는 체험하기 어려웠던 혁신적인 대국민 서비스도 대거 발굴·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범죄다발지역에 대한 범죄지도를 구축하고, 미아·범죄 등 현장상황을 CCTV 통합관제센터 등과 연계하여 신속히 대응하는 ‘현장밀착형 범죄예방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센서 등을 활용해 재난 취약지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3D기반 입체적 관제시스템, 재난지역 주민들에 대한 유무선 통합 알림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진․홍수․산사태 등 재난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구제역 등 가축 질병관리 전과정(예방, 예찰, 통제, 사후관리)에 대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국가사회 현안을 해결함에 있어 최신 IT 기술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2015년까지 전국에 50개의 공공 스마트워크센터를 구축하고 식품위생업소 지도점검 등 현장업무 지원 및 이동 중에도 전자결재가 가능한 모바일 오피스를 마련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 보급하고 중앙행정기관 세종시 이전 및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대비해 원격영상회의, 사이버 협업일터 등 디지털 행정협업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미래 사회는 사회 안전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배려․나눔의 문화가 확산되며, 양극화 해소를 통한 사회통합 등 중심이 될 전망이다” 며 “스마트 전자정부 추진을 통해 국가 사회 현안을 해결함과 동시에 국민들에게 한층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