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밀집지역, ‘희망마을’ 만든다
이혜선
| 2011-04-27 11:03:44
[시사투데이 이혜선 기자] 주거환경이 열악해 물리적 환경개선이 시급한 지역이나 영세민 등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사회복지시설 확충이 필요한 지역에 주민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복합생활공간이 만들어진다. 이들 지역에는 각 2억원의 특별교부세가 지급되며, 선정된 지자체에서는 여기에 추가로 2억원 이상을 투자하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대구광역시 남구 및 경상남도 진주시 등 25개 시·군·구를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에 선정했다. ‘희망마을 만들기’는 공동이용시설이 열악한 영세민 밀집지역을 사회적 소통, 문화적 여유, 경제적 풍요가 어우러지는 복합 활용공간으로 재창조하는 사업을 말한다.
지난 3월 한 달간 진행한 공모 결과, ‘생활공간 개선형’, ‘사회복지 확충형’, ‘수익사업 추구형’을 기본 유형으로 해 25개 사업이 선정됐다. 이번 공모에는 48개 시·군·구에서 50개 사업이 응모해 외부 심사위원이 참가한 심사를 거쳐 최종 25개 사업이 선정됐다.
행안부는 선정된 사업에 대해서 각각 2억원의 특별교부세를 지원할 예정이며 해당 시·군·구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바탕으로 올해 안에 공사계약 등 사업을 집행해야 한다. 한편, 완공된 희망마을은 지역주민이 자율적인 협의체 등을 구성해 자체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송영철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국장은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을 더욱 활성화해 지역주민들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친서민 정책들이 구현될 수 있도록 행안부의 지원이 필요한 곳을 찾아 적극 지원할 것이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